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중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와 특성 분석

이용수  954

영문명
Exploring th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ple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through Multilevel Meta-analysi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동일(Kim Dong il) 이윤희(Lee Yun hee) 전호정(Jeon Ho jeong) 오정수(Oh Jung su)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161~180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중지능이론 기반 프로그램이 아동ㆍ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각 연구별 효과 크기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아동ㆍ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전체평균 효과크기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2) 다중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와 관련이 깊은 프로그램의 특성은 무엇인가? 총 1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54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하여 다층메타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699로 추정되었다. 둘째, 개별 연구마다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크기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각 연구들 간의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1) 프로그램 실시 대상(유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2) 프로그램 참여자 수, 3) 프로그램 회기 당시간, 4) 프로그램 회기 수를 조건모형(condtional model)에 투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측변인들은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따라서, 자아존중감 향상에 대한 다중지능 프로그램의 효과크기에 차이를 가져오는 프로그램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효과크기 이상(0.71 이상)과 평균 효과크기 미만(0.071미만)의 연구들의 내용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프로그램 내용이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구성요소에 초점이 맞추어졌을 때, 소그룹 활동 등을 통해 좀 더 개인의 지능특성에 맞춘 개별화된 운영방식으로 진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운영자가 적극적으로 촉진자의 역할을 하였을 때, 전체 프로그램 구조가 강점지능영역 뿐 만 아니라 약점지능영역까지 다루도록 전개 되었을때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의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multiple intelligence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the self-esteem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effective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se program to be effectiv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multiple intelligence programs on self esteem and what are the affecting variables? 2) What are the conditions substantially related to effect size of programs? Multievel meta-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ffective variables and conditions related with effect size of programs as well as systematical review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programs. A multievel meta-analysis of the findings from 32 studies with 54 effect sizes showed that, first, the multiple intelligence programs were effective with a 0.699 averagely, and, second, effect size were vary from program to program. Predictor variables including age & number of program subjects, running time of each session and number of sessions were entered in the conditional model to identify the cause of differenc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either predictor variable explained significantly the effect size of each program. Multiple intelligence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ver and under the average effect size(0.71), and reviewed to fine out set of condition affecting on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 Effects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program increased as the content of program focused more on the self-esteem, subjects were organized in a smaller group, and the teachers took more active role in the program. Last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일(Kim Dong il),이윤희(Lee Yun hee),전호정(Jeon Ho jeong),오정수(Oh Jung su). (2014).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중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와 특성 분석. 열린교육연구, 22 (4), 161-180

MLA

김동일(Kim Dong il),이윤희(Lee Yun hee),전호정(Jeon Ho jeong),오정수(Oh Jung su).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중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와 특성 분석." 열린교육연구, 22.4(2014): 161-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