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versification of Learners and Respon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mbracing Plurality, Equity, and Learner Agency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강남욱(Nam-wook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6권 2호, 1~3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landscape is characterized by unprecedented diversification in both its environments and learner demographics. Amidst these profound changes, critical questions arise regarding the optimal pedagogical approaches for increasingly diverse learners, the transformations observed within these learners in evolving educational contexts, and the necessary methodological adaptations and preparations for effectively addressing future learner diversity. This study critically explores these foundational issues from their origins. First, it re-evaluates the meaning of diversity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erting that it extends beyond the superficial complexity of current learners. By centering the learner’s perspective, this research posits that diversity is inherently embedded in the very nature of learning itself. To elucidate this learner diversity, three pivotal themes are identified: ‘acceptance of multilingualism and multiculturalism,’ ‘removal of discrimination and barriers in multicultural spaces,’ and ‘expansion of learner agency in response to societal changes.’ These themes are further elaborated through the conceptual lenses of “Pluralistic,” “Equitable,” and “Agential.” Based on this comprehensive framework, the study delineates specific research areas through which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roaden its academic scope.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학습자군의 다양화를 보는 시각
3. 학습자군의 다양화에 대응하는 한국어교육의 방향
4. 한국어교육의 변혁적 과제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 외국인 어투에 대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언어 태도 연구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과제 - 교육 기관 담당자 심층 면담을 통한 실증적 분석
- 한국어 학습자 쓰기 숙달도 자동평가를 위한 언어 자질 연구 - 어휘 관련 자질을 중심으로
- 미얀마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감정 척도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 학습자의 감정 요인 중심으로
- 미국 스페인어-영어 횡단언어 연구 동향과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