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과 토의ㆍ토론 수업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이용수  1,112

영문명
A Study on Teachers’ Awarenes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Discussions and Debates in Class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of its Improvements - Focusing o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설규주(Seol, Kyujoo) 정문성(Jeong, Moonseong) 구정화(Koo, Jeonghwa)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9집 제3호, 115~14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과 토의ㆍ토론 수업의 실태 및 그와 관련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울산 지역의 중등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과 교사들의 토의ㆍ토론 활용 정도는 높지 않으나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절대 다수가 동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사회과 토의ㆍ토론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업 진도 부담이 경감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사회과 토의ㆍ토론수업 우수교사 인증제와 같은 공식적 제도에 참여하겠다는 교사도 약 27%에 이르렀다. 사회과 토의ㆍ토론수업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사회과 토의ㆍ토론수업 저해 요인을 해소하고 보다 일상적인 사회과 토의ㆍ토론수업 시도가 늘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과 토의ㆍ토론수업 우수교사 인증제와 같은 제도를 시행할 때는 합리적이고 세분화된 수업평가 기준이 필요하며, 이러한 제도가 사회과 수업 컨설팅과 연계되어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궁극적으로는 사회과 토의ㆍ토론수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를 넘어 토의ㆍ토론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discussions and debates in class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o search for ways to improve them. For these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of social studies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urvey shows that teachers do not use discussions and debates in their social studies classes very much, but most of them agree on the necessity of discussions and debates. They highlighted that the burden of instruction should be reduced in order to encourage more uses of discussions and debates in social studies classes. In addition, about 27% of social studies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certification system of social studies teachers for discussions and debates. To facilitate the wide use of discussions and debate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requires removing impediments, and the frequent promotion of discussions and debates. Moreover, reasonable and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are needed when implementing such a system as the certific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for discussions and debates. Furthermore, such a system should be run in line with consulting programs for improving social studies instruction. in conjunction with such a system, a culture that encourages discussions and debates should gradually be established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사회과 토의ㆍ토론 수업의 의의
Ⅲ. 사회과 토의ㆍ토론 수업 관련 조사
Ⅳ. 조사 결과에 대한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설규주(Seol, Kyujoo),정문성(Jeong, Moonseong),구정화(Koo, Jeonghwa). (2011).사회과 토의ㆍ토론 수업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열린교육연구, 19 (3), 115-148

MLA

설규주(Seol, Kyujoo),정문성(Jeong, Moonseong),구정화(Koo, Jeonghwa). "사회과 토의ㆍ토론 수업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열린교육연구, 19.3(2011): 115-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