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 탐색

이용수  407

영문명
An Inquiry on the Speciality of High School Teachers as Career-Focused Course Developer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조호제(Cho, Hoje) 홍후조(Hong, Hoo-Jo)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9집 제3호, 91~11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우리나라 고교 교육의 성격을 살펴보고 진로 집중과정과 대학 입시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둘째, 고교교육에서 진로 집중과정의 정당성을 사회, 교과(학문), 학습자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셋째, 이상의 탐색과 논의를 기초로 하여 고교에서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이 무엇인지 교육과정의 존립수준에 따라 다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은 교실 수준 교육과정에서는 진로에 맞는 교과의 종류, 내용, 수준, 범위 등을 결정하고 여기에 알맞게 교수하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학교수준 교육과정에서는 학교에 개설할 진로 집중과정의 종류를 학생의 진로, 능력, 적성에 맞게 설계하거나 조율하는 교육과정의 적정화를 통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지역 수준 교육과정에서는 단위학교에서 진로 집중과정을 다양하게 개설하는데 제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학교간 역할 분담을 하는데 있어 학교의 규모나 교육 환경을 살펴 특정 지역에 알맞게 진로 집중과정을 분배할 수 있는 교육과정 전문성이 필요하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는 진로 집중과정의 종수를 획정하고 명칭을 확정하며 나아가 진로 맞춤형 대학 입시를 설계하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ciality of high school teachers as career-focused course developers and draw on its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performed the following research.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focused courses and entrance exams in Korea. Second, it discussed justification within society, subjects (disciplines), and students focused on a career in high school education. Third, it reviewed the speciality of high school teachers as career-focused course developer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curriculum decision making. The result for the this study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The speciality of high school teachers as career-focused course developers is required in deciding the type, contents, scope and sequence of the subjects suitable for the careers and teaching in the classroom-level curriculum. Especially, teachers require the ability to make up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needs for the school, and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resolve it in the school-level curriculum. They require the speciality to distribute the career-focused courses to overcome limitations for opening various classes in a regional-level curriculum. They require the speciality to determine the type and names of the career-focused course, and design entrance exams for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고교 교육의 성격과 대학 입시
Ⅲ. 고교 교육에서 진로 집중과정의 정당성
Ⅳ.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의 고교 교사의 전문성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호제(Cho, Hoje),홍후조(Hong, Hoo-Jo). (2011).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 탐색. 열린교육연구, 19 (3), 91-114

MLA

조호제(Cho, Hoje),홍후조(Hong, Hoo-Jo).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 탐색." 열린교육연구, 19.3(2011): 91-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