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907
- 영문명
- The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on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연희(Kim, Yeonhee) 이종경(Lee, Chongkyung) 이하늘(Lee, Hanul) 이선아(Lee, Suna)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9집 제3호, 177~1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학습전략(인지전략, 초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이 어느 정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A여자대학교의 학생들 총 227명을 대상으로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에 관해 설문조사 하였으며 학습전략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도구인 MSLQ(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학습전략 중 인지전략과 자원관리전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지전략 중에서는 조직화전략이, 자원관리전략 중에서는 학습시간관리전략과 노력조절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learning strategies on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227 participants from A University were surveyed by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to measure learning strategy and its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Cognitive Strategies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Organization Strategies of Cognitive Strategies, Time & Study Environment Management Strategy, and Effort Regulation Strategy of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were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적 소통을 위한 사진활용의 가능성 탐색
-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인식 분석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학생운동선수의 학교생활과 하위문화
- 대학생의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 탐색
-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 수업 개발을 위한 교수공동체 협력 모형 사례연구
- 사회과 토의ㆍ토론 수업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 마이스터고 학생의 가정배경 및 정서적ㆍ학습심리적 특징 분석
- 초등학교의 의사결정 네트워크 특성 분석
-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유아 수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