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적 소통을 위한 사진활용의 가능성 탐색
이용수 342
- 영문명
-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Using Photography as a Tool for Multicultural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권효숙(Kwon, Hyosook)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9집 제3호, 227~2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구이동의 가속화와 더불어 학교교육 영역에서도 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 및 소통능력의 함양이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다문화적 교실장면에서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사진 활용법을 제안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사진은 이미지 해석의 기제를 통해 교사자신의 문화적 준거틀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학생들의 구체적이고 생생한 삶의 맥락을 존중함으로써 이해지향적태도를 갖도록 돕는다. 문자화된 언어를 넘어서는 해석의 자율성과 주체적 참여 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는 사진은 포토에세이, 포토인터뷰 등과 같은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다문화교육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고유한 목소리 속에 내포되어 있는 인식세계를 포착하는 일은 교사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출발점을 찾는 일이기도 하다. 교사의 문화적 조응 능력을 함양하는 일이 다문화교육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때 사진은 다양한 차원에서 다문화적 소통의 실행도구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영문 초록
Demographic trends around the world are changing schools. The circumstances call for an additional task of enhancing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eachers in the classroom. This study proposed that photography could be an effective tool for teachers who have to develop culturally responsive attitudes and behaviors which facilitate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in the classroom. Photography offers not only a channel through which subconscious beliefs about “self”, and “others” are revealed, but also the opportunity to enter the previously unfamiliar context of the students. It could help improve the teacher’s cultural responsiveness. Because a photographic image guarantees a participant’s untrammeled interpretations and subjective attitudes in the way of photo essay and photo interview, the teacher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enhance connections between them through these approaches. In essence, multicultural responsiveness education is an important first step in preparing teachers to become effective instructors of diverse classrooms. There are a variety of ways to implement this education and this study proposed photography to be a successful medi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개관
Ⅲ. 다문화적 소통과 사진의 특성
Ⅲ. 다문화교육 장면에서 사진의 활용
Ⅳ. 다문화교육 매체로서 사진의 가능성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학생운동선수의 학교생활과 하위문화
-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유아 수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 수업 개발을 위한 교수공동체 협력 모형 사례연구
-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인식 분석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 탐색
- 사회과 토의ㆍ토론 수업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 마이스터고 학생의 가정배경 및 정서적ㆍ학습심리적 특징 분석
- 다문화적 소통을 위한 사진활용의 가능성 탐색
- 초등학교의 의사결정 네트워크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