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 수업 개발을 위한 교수공동체 협력 모형 사례연구

이용수  195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a Teaching Community to Develop a Content-Based Course for Global Designer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박부남(Park, Punahm)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9집 제3호, 197~22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제화를 지향하는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 수업 개발을 위하여 디자인학부의 교수공동체 협력모임의 활동현황, 역할 및 의의를 살펴보았다. 외국인 디자인 교수들(3명)과 영어교육 교수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자로 이루어진 교수 공동체는 한 학기동안 ‘디자인 기초영어’ 수업을 효과적으로 만들어가기 위한 협력모임을 진행 하였다. 연구자는 한 학기 동안 진행된 교수공동체 협력 모임의 토론을 참여 관찰하고, 3개의 ‘디자인 기초영어’ 수업을 서술적으로 관찰 하고, 수업에 대한 반응을 알기위해 학생들과 교수들을 면담 하였다. 질적인 방법을 사용한 이 사례 연구는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수업개발에 교수 공동체의 협력 모임의 활용이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첫째, 외국인 디자인 교수가 학생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둘째 효과적인 수업을 운영하기위해 당면한 문제를 함께 해결하며 공생 할 수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교수 전공과목에 대한 전문성 역량 신장에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것 또한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대학의 국제화를 지향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교수공동체 협력모임의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about the collaborative process of a teaching community to develop a content-based language course for global designers in a Korean design college. The teaching community consisted of 3 design professors, an English language professor, and a program developer to share teaching experiences of ‘Introduction to Design English’ during one semester. In order to have the collaboration of the teaching community help the professors make the course effectiv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collaborative process of the teaching community, observed the three different professors’ classes of “Introduction to Design English”, and interviewed the professors and students for their responses to the respective classes. By the collaborative critique from the teaching community, the professor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students’ needs and characteristics and solve many difficulties related to teaching and then redesign the course in accordance with th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However, there was no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he subject for the design professors.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howed that the use of a teaching community was instrumental to develop an effective content-based course through collaborative critiqu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교수공동체 협력 참여 활동과 인식
Ⅴ. 교수공동체 협력 활동에 대한 인식과 의미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부남(Park, Punahm). (2011).글로벌 디자이너 양성 수업 개발을 위한 교수공동체 협력 모형 사례연구. 열린교육연구, 19 (3), 197-225

MLA

박부남(Park, Punahm).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 수업 개발을 위한 교수공동체 협력 모형 사례연구." 열린교육연구, 19.3(2011): 197-2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