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의 의사결정 네트워크 특성 분석
이용수 432
- 영문명
-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Decision -Making in Prim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완(Park, Sangwan) 김민희(Kim, Minh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9집 제3호, 51~7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내의 의사결정 특성을 의사결정 영역과 주체를 중심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네트워크 분석법은 의사결정 영역별로 의사결정 주체의 영향력을 보다 종합적,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학교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가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는 영역을 확인하고 학교 내 의사결정 구조를 개선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답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두 가지이다. 첫째, 학교의 주요 의사결정 영역에서 의사결정 주체들 간의 중심성은 어떠한가? 둘째, 의사결정 주체들 간의 연결내향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은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분석 결과, 의사결정 영역별로 다양한 학교 구성원들의 의사결정 영향력은 차이를 보였는데, 교수방법 결정에서는 일반 교사들의 의사결정 중심성이 높았고, 교사전보 결정 등 교원인사 영역, 학생훈육기준 설정 등 학생정책 영역, 학교예산 편성 등에서는 교육청과 교장의 의사결정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의사결정 중심성이 전 영역에서 매우 낮게 나타나, 이와 관련된 추가 연구와 개선 과제가 필요함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the mid-1990’s, the government has made an effort to increase school autonomy in order to improve school effectiveness. In reviewing the newly adopted school autonomy enhancement polic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cision-making in primary schools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is methodology is advantageous in that it yields a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on decision-making at the school level, and helps identify the gaps in decision-making areas among school stakeholder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in this study. First, how is the centrality of decision-making among school members reflected in the decision-making areas?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in-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mong different stakeholders in the school environment? The study found several conclusions. First, there was considerable variation in the centrality within each decision-making area. In most schools, teachers displayed high centrality in decision-making related to teaching methods. Decisions on school management, including setting a school budget, were primarily made by local education authorities and principals. Meanwhile, staff management and student discipline policies were mainly in the domain of the school principal. Second, in-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mong school stakeholders show clear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ecision-making area. The data revealed that the school council played a minor role in all decision-making ar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ool autonomy in school decision-making is being achieved at the expense of limiting the influence of local/central education authorities. However, of all the stakeholders within the school, the principal emerged as the primary decision-maker in all decision-making areas except in cases of - instruction-related decisions. If the goal of the government is to enhance school effectiveness, policy makers should revisit the current school autonomy policy so that it incorporates more opportunities and support for various school stakeholders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학생운동선수의 학교생활과 하위문화
-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유아 수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 수업 개발을 위한 교수공동체 협력 모형 사례연구
-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인식 분석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 탐색
- 사회과 토의ㆍ토론 수업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 마이스터고 학생의 가정배경 및 정서적ㆍ학습심리적 특징 분석
- 다문화적 소통을 위한 사진활용의 가능성 탐색
- 초등학교의 의사결정 네트워크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20권 제2호 목차
- 공유리더십이 혁신행동과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