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書法, 書道, 書藝, 어떤 명칭을 사용할 것인가?
이용수 439
- 영문명
- Among Seobeob, Seodo, and Seoye, Which Name Should Be Used?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김병기(Kim, byung-gi)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8호, 5~3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3.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붓으로 글씨를 쓴다는 행위는 한국이나, 중국이나, 일본이 다를 바가 없는데 같은 행위를 묘사하는 용어는 書法, 書道, 書藝 등 각기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세 개의 용어는 하나로 통일할 수 없는 것일까? 만약 통합한다면 어느 것을 택하는 것이 가장 합당한 것일까? 본고는 이러한 점에 대해서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許愼의 『說文解字』, 蔡邕의 『筆論』, 劉熙載의 『書槪』 등에 나타난 ‘書’에 대한 몇 가지 정의를 통해서 살펴본 결과, ‘書法’은 ‘書藝’나 ‘書道’의 하위개념으로서 ‘筆法’이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는 있을지 모르나 ‘붓으로 글씨를 쓰는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행위 자체를 표현하는 말로서는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法’, ‘道’ ‘藝’ 세 글자의 初形本意와 引伸意를 살펴본 결과 書藝나 書道라는 용어가 書法이라는 용어에 비해서 보다 더 높고 넓은 차원의 개념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書法, 書道, 書藝라는 용어는 각기 나름대로의 유래와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사용 역사의 장구함과 사용례의 풍부함, 그리고 사용지역의 광대함에 있어서는 書法이라는 용어가 가장 앞선다. 다음으로는 書道라는 말이 우세한 것 같고 서예라는 용어가 역사성이 가장 취약하다. 일본사람들은 서도뿐 아니라 운동이나 각종 기예를 모두 ‘道’로 포괄하여 그 개념을 인격수양과 관련지어 정립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서기 8세기경부터 ‘書道’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서도라는 용어는 그 후로 지속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닌 것 같다. ‘筆道’, ‘入木’이라는 용어도 사용하였고 ‘書流’라는 용어도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명치유신과 더불어 일본의 문화를 재정립하면서부터 ‘書道’라는 용어를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원래 書藝는 글씨를 쓰는 技藝를 뜻하는 말이었다. 그러나 중국의 고대의 典籍에서는 書法이라는 용어에 비해 書藝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朝鮮王朝實錄』에 두 번 등장하는 ‘書藝’라는 용어의 용례로 보아 조선에서도 중국의 영향아래 書法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서예라는 용어는 조선 초기에만 잠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당시에 사용한 書藝라는 용어에는 예술적 의미보다는 기술적 의미가 보다 더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한국 서단에서 ‘書藝’라는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45년 9월 서예가 孫在馨이 조직한 朝鮮書畵同硏會의 綱領에서부터이며 그 후로 차츰 사용범위가 확대되어 지금은 완전히 일반화되었다. ‘書法’이라는 용어의 발생과정을 보면 ‘글씨를 쓰는 방법’이라는 단순한 字面意만 들어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서예’와 다를 바 없는 예술적 의미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書道’라는 용어는 그 字面만으로 볼 때는 ‘道’라는 심각성과 진지성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되는데 실지로 ‘書道’라는 용어의 사용 연원과 근래의 보편화과정을 보면 생각보다 심각성과 진지성 혹은 修道的 성격이 강하게 부여되지 않은 용어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書藝’라는 용어는 원래는 예술적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하기 보다는 기술적 의미로 많이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사용의 역사도 그리 길지 않다. 그러나 서예를 근대적 의미의 ‘예술’로 인식하고서 ‘서예’로 부르기 시작했다는 점에서는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서예’야말로 ‘서의 예술’로 풀이할 수 있고 그렇게 풀이했을 때 근대적 의미의 예술이라는 용어와 틈이 없이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술이라는 용어가 본래 가지고 있던 ‘기술’이라는 어원적 의미와 ‘미적 기술’이라는 현대적 의미에 비추어 볼 때 서법이나 서도라는 용어보다는 서예라는 용어를 택하는 것이 보다 더 합당하다. 왜냐하면 ‘書藝’라는 용어에 사용된 ‘藝’는 본래 ‘기술’의 의미였는데 근대에 이르러 서양의 ‘schone kunst’나 ‘fine art’, ‘beaux arts’라는 말을 받아들이면서 우리 한자 문화권에서는 그것을 ‘예술’이라는 말로 표현하였으니 ‘글씨를 쓰는 기술’이라는 의미로부터 출발한 ‘書의 藝’를 ‘書藝’로 표현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다. ‘道’와 ‘藝’를 동시에 언급한 논어의 “志於道, 據於德, 依於仁, 游於藝”라는 구절을 통하여 ‘道’와 ‘藝’의 미학적 함의를 비교해 본 결과, 道란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일상으로 생활하는 가운데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할 도덕과 의리와 예의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道’의 의미에 입각하여 현재 우리가 하고 있는 예술로서의 ‘書’를 ‘道’로 포괄하거나 규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behavior of writing letters with a brush is not different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yet each term, such as 'seoye,' 'seobeob,' or 'seodo,' which describes the same behavior is different in those countries. If so, can't the three terms be unified into one? If one has to choose it, which one is the most suitab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blem.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 through each definition on 'seo‘(writing), represented in the Suowenjiezi of Xu Shen, the Bilun of Cai Yong, and the Shugai of Liu Xizai,
tells us that 'seobeob,' which is a shallow concept of 'seoye' or 'seodo,' can be used as the meaning of 'bibeob.'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 for the term expressing the art activity itself that presents one's thought and feeling through the behavior of writing letters with a brush. I observed the original meaning and the extended meaning of the three letters: 'beob,' 'do,' and 'ye.' And I found that 'seoye' or 'seodo' contains a higher and broader concept in comparition to 'seobeob.' But each of the three terms has its own origin and history. 'Seobeob' is the oldest term in history used in many examples and regions. The second is 'seodo,' and 'seoye' is the last. Japanese include not only 'seodo' but also sports, arts, and crafts into 'do' and
fix 'do's concept related to character-cultivating. In Japan, the term 'seodo' began to be used since 8th century or thereabouts, but since then it seems not to be used continuously. ‘Bido,' 'yibmok,' or 'seoryu' was also used. Restructuring Japanese culture during the Myungchi Renovation, 'seodo' was universally used by Japanese. 'Seoye' primarily means arts and skills. In the ancient texts of China, the term 'seoye' was hardly used, compared to 'seobeob.' It was written only twice in the Joseanwangjosillok.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was used only for a moment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at Chinese influence caused the Joseon to use the term 'seobeob,' instead of 'seoye.' 'Seoye' includes a technical meaning rather than an artistic meaning. In Korean calligraphy society, it began to be used since September, 1945, the time Son Jae-Hyung, a calligrapher, made general principles of the Joseonseohuadongyeonhui. Since then its usage became widened and now generalized. Seeing how the term 'seobeob' has developed over history, it contains both the character's meaning(i.e. writing method) itself and the artistic meaning, which is the same as Korean's 'seoye.' In the character's meaning, 'seoye' includes the severity and sincerity of 'do.' In fact, if one sees the root of using the term 'seodo' and the process of generalization, one will recognize it does not include strong severity, sincerity, or acetic character. In Korea, 'seoye' has a technical meaning rather than an artistic meaning, and the history of its usage is not long.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people recognize 'seoye' as an 'art' of modernistic sense. 'Seoye' is 'an art of writing,' so it fits with the art of modernistic sense. In the aspect of the etymological meaning, which is a 'skill,' and the modern sense, which is an 'aesthetic skill,' choosing 'seoye' is more reasonable than choosing 'seobeob' or 'seodo.' 'Ye' of 'seoye' originally means a 'skill,' but in the modern time its meaning changed into an 'art' because of the influence of Western words, such as 'schone kunst,' ' fine art,' and 'beaux arts.' Therefore, it is natural to express the 'art of writing,' which came from the 'skill of writing,' to 'seoye.' If one compares the esthetic meaning of 'dao' to that of 'ye' in the sentence of the Analects that says, "put one's mind on the way, base oneself on the virtue, rely oneself on the benevolence, and find one's relaxation in the arts," 'do' means morality, justice, and courtesy one should keep in daily life. It is therefore unreasonable to prescribe 'seo', as an art, to 'do.'
목차
Ⅰ. 緖論
Ⅱ. ‘書’에 대한 몇 가지 정의
Ⅲ. ‘法’, ‘道’, ‘藝’의 初形 本意와 引伸意
Ⅳ. ‘書法’, ‘書道’, ‘書藝’ 용어의 역사성 - 사용 유래와 계기
Ⅴ. 書法, 書道, 書藝 용어와 현대의 ‘藝術’ 개념 과의 대비
Ⅵ. ‘道’와 ‘藝’에 대한 중국 미학적 분석
Ⅶ.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