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藝槪.書槪』에 나타난 劉熙載 書藝美學思想의 특색
이용수 279
- 영문명
- Liu Xi-zai 劉熙載's Aesthetic Thoughts of Calligraphy in Yi Gai (藝槪)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임태승(Lim, Tae-seung)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8호, 133~1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淸代의 탁월한 예술비평이론가인 劉熙載는 중국서예미학사상의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역사적 지위를 점하고 있다. 그의 주요한 저작으로 『藝槪』를 들 수 있는데, 이 중 「書槪」부분에 서예에 관한 유희재의 사상과 관점이 담겨 있다. 「書槪」는 모두 246條의 간략한 논술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체를 통해 각 서체의 변천과정과 특징, 주요 서예가와 작품, 用筆, 結字와 章法, 서예의 풍격과 심미 및 書品과 人品의 관계 등이 간단명료한 短句들로 개괄되어 있다. 유희재의 예술비평은 대략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그의 예술비평은 풍부한 철학적 소양을 그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그 주된 철학적 기초는 儒家哲學인데, 「書槪」를 포함한 전체 『藝槪』에는 대부분 유가철학적 요소가 비평의 근거가 되고 있다. 둘째, 그의 예술비평은 체계적이고 상당히 이론적이다. 전해지는 말이나 사건을 기록하고 사료고증을 주임무로 하는 중국의 전통적인 詩話나 詞話의 작법을 뛰어넘어 체계적인 이론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특징에 기초한 유희재의 서예미학사상은 다시 아래의 세 가지 특성으로 귀결된다. 「書槪」에 나타난 그의 서예미학관은 첫째, ‘意象’관계에서 象보다는 意를 중시한다. 즉 形象性보다는 그 형상 이면에 배어있는 작가의 생각과 의지를 작품완성의 관건으로 파악한다. 둘째, 중국의 전통적인 書體는 甲骨文, 金文으로부터 篆, 隸, 楷, 行, 草書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유희재는 그 중 草書를 가장 높게 자리매김한다. 그 이유는 草書가 작가의 내면세계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셋째, ‘書如其人’이라는 전통적인 品格論을 계승함으로서 그 역시 ‘品論’에 있어서의 人品과 作品, 혹은 인격과 풍격의 통일이라는 관점을 견지한다. 유희재는 淸末 고전미학의 최후집대성자이다. 일생동안 儒者의 길을 걸어간 그는 유가에 바탕을 둔 철학적 소양은 물론 서예뿐만이 아닌 예술의 전 분야에 걸쳐 폭넓은 조예를 가진 탁월한 예술비평가이자 미학이론가이다. 그는 유가철학적 소양과 예술적 조예를 하나로 융합시켜 예술비평에 있어서 불후의 한 장을 개척하였음은 재론의 여지가 없겠다. 특히 상고시대의 形象思惟 및 문자창조과정 중의 ‘立象’과 ‘盡意’에 그 뿌리를 둔 채 다시 『易傳』의 유가철학적 요소가 가미된 그의 ‘二觀’說은, 중국서예미학사상사에서 볼 때 서예의 경지를 한층 더 끌어올린 독보적 가치를 지니는 것이라 하겠다.
영문 초록
Liu Xi-zai, the most prominent art critic in Qing 淸dynasty,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aesthetic thoughts in Chinese calligraphy. Yi Gai is one of his important books, and one of the chapter in it, "Shu Gai 書槪", reveals Liu Xi-zai's aesthetic views on calligraphy. His criticism of art
shows two characteristics as follows: One is that his criticism of art is based on a great wealth of philosophical grounding. And the chief basis of philosophy is Confucianism. The other is that his criticism of art is a theory with a complete system. In conclusion, Liu Xi-zai's aesthetic views on calligraphy have thre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he takes Yi 意seriously much more than Xiang 象 in the relation of Yixiang. Second, he regards the cursive style as the mostimportant of the traditional calligraphic styles. Finally, he holds on to the view of the unity of personality and works, or morals and styles.
목차
Ⅰ. 緖論 - 劉熙載와 「藝槪.書槪」
Ⅱ. 「易傳」와 意象思惟
Ⅲ. 觀物과 觀我의 ‘二觀’ 說
Ⅳ. ‘造乎自然’ 說과 서예창작회 三段式
Ⅴ. 草書와 ‘書如其人’
Ⅵ. 結論 - ‘二觀’ 說의 形神論的 성격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