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智果 『心成頌』 小考
이용수 35
- 영문명
- Study on the SimSungSong of ZhiGuo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문종명(Moon, Jong-myung)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8호, 221~23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3.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心成頌』은 4언 위주의 운문인 頌을 중심으로, 서예의 결구를 여덟 쌍의 모순, 즉 열여섯 조항으로 개괄하고, 장법에 관한 두 조항으로 끝맺고 있다. 『心成頌』의 서예 미학상의 가치는 다음의 몇 가지 관계에 주의한 점이다. 1. 欹正의 결체 관계 2. 虛實의 결체 관계 3. 主次의 결체 관계 4. 呼應ㆍ避就ㆍ向背 등의 결체 관계 5. 統一의 장법 관계
이상의 몇 가지의 요구는 요약컨대 결체상의 음양 대비의 변증법과 작품 전체의 유기적 통일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에 따라 다양성을 확보하면서 변화와 통일의 모순을 최대한 조화시켜, 훌륭한 ‘형식미’를 갖춘 글씨를 쓰려는 마음을 늘 가지려 한 것이 智果의 『心成頌』 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心成頌-SimSungSong』 is centering around 頌-Song that is, based on 4 letters verse and is summarizing the formative principles of calligraphy with eight pairs contradiction, or sixteen clauses and is ending with two clauses about 章法 -ZhangFa. The aesthetic value of 『心成頌-SimSungSong』 is on the attentive respect for the next some relationships. 1. The formative principle relationships of 欹正-QiZheng. 2. The formative principle relationships of 虛實-XuShi. 3. The formative principle relationships of 主次-ZhuCi. 4. The relationships of formative principles among 呼應 -HuYingㆍ避就-BiJiuㆍ向背-XiangBei etcetera. 5. The relationship of 章法-ZhangFa for unification. To sum up several requests as mentioned above, it seems emphasizing the dialectic from the comparison of 陰-Yin and 陽-Yang, and the organic unification through the whole work. According those aspects, it can be concluded from 『心成頌 -SimSungSong』 of 智果-ZhiGuo that is, 智果-ZhiGuo always trying to keep the mind to writing the letters with excellent formal beauty using the fully harmonized contradiction method which is existing between a variation and an unity.
목차
Ⅰ. 緖論 - 智果와 「心成頌」
Ⅱ. 「心成頌」 譯註
Ⅲ. 結論 - 「心成頌」의 서예미학상의 가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