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for Quality of Fixed effect Parameters and Value Added Estimators via 3-Level Hierarchical Polynomial Growth Model: A Simulation Stud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장혜숙(Jang Hyesuk) 강상진(Kang Sang-Jin) 이규민(Lee Guemin)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1권 제3호, 173~19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육 종단자료 분석에 사용되는 3수준 다차항 다층 성장모형의 명세화 및 성장정보의 이해를 돕고 모의실험을 통해 추정치의 양호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3수준 다차항 다층 성장모형과 부가가치 모수를 명세화하고, 학교 수와 학생 수에 따른 6가지 조건으로 모의실험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종단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다차항 다층모형을 적용할 경우, 분석에 사용되는 학생 수에 제한이 있다면 보다 많은 학교를 표집하는 것이 모수 추정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t is an essential part in educational evaluation to measure how to change student"s abilities in order to assess education effect. Although Hierarchical Growth Model can be widely applied to analyze a longitudinal multilevel data set, it has not been fully in practical use.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3-Level Hierarchical polynomial growth model reflecting multilevel data structures and irregular growth trajectories and to investigate the unbiasedness and efficiency of fixed effect parameters and value added estimators by simulation study.
The results of simulation study according to six conditions were as follows. On fixed effect parameters, γ?₁? and γ₁₁? were estimated unbiasedly and efficiently, and γ??₁ γ??? and γ₁?? got more unbiased and efficient estimators as the number of school got increased. Not only the value added estimators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nd but also the difference in value added estimators between two groups got more unbiasedness when the number of schools got increased.
The results of simulation study according to six conditions were as follows. On fixed effect parameters, γ?₁? and γ₁₁? were estimated unbiasedly and efficiently, and γ??₁ γ??? and γ₁?? got more unbiased and efficient estimators as the number of school got increased. Not only the value added estimators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nd but also the difference in value added estimators between two groups got more unbiasedness when the number of schools got increased.
목차
Ⅰ. 서론
Ⅱ. 다차항 다층 성장모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Ⅱ. 다차항 다층 성장모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9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에 대한 평가 연구
- 자아 존중감에 대한 경향점수를 이용한 평준화 효과 분석
- 학습동기, 자아개념, 학업성취간 관계의 집단간 동등성 분석 - PISA 2006을 중심으로
- 모의실험을 통한 3수준 다차항 다층 성장모형의 고정효과 및 부가가치 추정량의 양호도 탐색
- Drawing Causal Inferences Using Propensity Score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 라쉬모형에 기반을 둔 영재판별을 위한 도형추론지능검사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의 문항분석
- 3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한 교육맥락변인의 효과 분석
- 대학 자율화 및 질 제고와 대학입학전형제도
- 교육 맥락적 변인의 능력집단별 학업성취에의 영향력 분석
- Sample Size and Test Length Effects on Conditional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in Item Response Theory and Generalizability Theory Using Simulation Techniques
- 교육평가연구 게재 원고 모집 안내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