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 맥락적 변인의 능력집단별 학업성취에의 영향력 분석

이용수  479

영문명
Effect of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the Different Ability Group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박정(Chung Park)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1권 제3호, 23~4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9.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관련 맥락 변인들이 각 능력집단별로 학업성취도에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학ㆍ과학 성취도 국제비교 연구인 TIMSS 2003에서 수집된 학교와 학생 설문지 자료를 사용하여 2수준 다층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집단을 대상으로 할 경우는 학교수준의 변인에서는 교사의 학생에 대한 기대정도, 교사의 연수정도, 동일 교육내용과 수준별 수업의 교육과정 운영방식, 그리고 학부모의 학교 참여 정도가 의미 있게 나타났고, 학생 수준에서는 진학기대, 수학적 효능감, 교과 가치, 독서시간, 과외여부, 학교에서의 행복감, 친구들에 대한 기대와 부모의 기대가 의미 있게 나타났다. 상위권 학생들의 경우는 학교수준에서는 교사의 기대와 학부모 참여정도가 학생수준에서는 수학적 효능감, 교과가치, 독서시간, 부모의 학력과 기대, 그리고 교사의 기대가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중위권 학생의 경우는 학교수준에서는 교사의 연수정도와 학부모 참여정도가 학생수준에서는 수학적 효능감과 학교에서의 행복과 친구기대가 의미 있는 변인으로 산출되었다. 하위권 학생들의 경우는 학교수준에서는 교사의 연수정도와 교사의 기대정도가 학생수준에서는 독서시간과 과외여부만이 의미 있는 변인으로 산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contextual variable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ffect different ability groups to the same degree. This study is based on analysis of TIMSS(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2003 using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Results show that teacher"s expectati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ame content, different ability in class, and parent"s involving school activity among school level variables and expectation of the future education, self-confidence in mathematics, attitude to mathematics, reading time, extra lessons, happiness in school, expectation of friends and parents among student level variables have affected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 For high-performing students, teacher"s expectation, parent"s involvement of school activity, self-confidence in subjects, attitude to subject, reading time,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expectation have affected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 For middle group student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arent"s involvement of school activity, self-confidence in mathematics, expectation to friend, happiness in school have been affective factors. For low-performing students, teacher factors such a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xpectation, and student"s reading time and extra lesson have affected their achievem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Chung Park). (2008).교육 맥락적 변인의 능력집단별 학업성취에의 영향력 분석. 교육평가연구, 21 (3), 23-41

MLA

박정(Chung Park). "교육 맥락적 변인의 능력집단별 학업성취에의 영향력 분석." 교육평가연구, 21.3(2008): 2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