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rawing Causal Inferences Using Propensity Score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이용수 511
- 영문명
- Drawing Causal Inferences Using Propensity Score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Junyeop Kim(김준엽) Hyekyung Jung(정혜경) Michael H. Seltzer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1권 제3호, 219~2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관찰자료를 사용하는 교육 프로그램 또는 정책의 효과성 연구에서 인과효과에 대한 추론에는 많은 난점이 있다. 그 주된 이유는 관찰 연구 혹은 준실험 연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거의 모든 경우에 무선 할당되지 않고, 따라서 직접 비교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Rubin의 인과모형은 인과적 효과를 규정하고 그에 따라 타당한 인과효과를 추론하기 위해 충족시켜야 하는 가정들을 명확히 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적 틀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인과모형에 따른 성향점수(propensity score)를 활용한 인과효과 추정방법(Rosenbaum & Rubin, 1983a)은 관찰자료 및 준실험 자료를 이용한 인과효과 추정연구에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Rubin의 인과모형과 성향점수를 활용한 다양한 인과적 효과의 추정 방법을 소개하고, 이러한 연구방법을 교육평가 연구에 적용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중요한 쟁점들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국의 한 통합 교육구에서 실시된 Early Academic Outreach Program (EAOP)의 효과를 예시적 목적에서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In estimating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program or policy using observational data, drawing causal inferences is challenging because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in such studies are almost always not directly comparable. Rubin’s causal model provides a valuable conceptual framework for defining causal effects and clarifying the assumptions that must be met in order to draw sound causal inferences. In conjunction with this framework, propensity score methodology (Rosenbaum & Rubin, 1983a) provides an important tool in efforts to estimate causal effects when working with observational or quasiexperimental data. Propensity score approaches provide the basis for forming comparable subgroups given the estimated probability of being assigned to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Rubin’s causal model (RCM) and various propensity score methods for estimation of causal effects in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and to provide detailed discussion of the critical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implementing these methods in educational settings. Data from the Early Academic Outreach Program (EAOP), which was implemented in a large U.S. school district,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ubin’s Causal Model
Ⅲ. Propensity Scores and Causal Effects without Randomization
Ⅳ. Use of Propensity Scores for Causal Inference
Ⅴ. An Illustration
Ⅵ. Discussion: Issues for Education Research
References
저자소개
〈요약〉
Ⅱ. Rubin’s Causal Model
Ⅲ. Propensity Scores and Causal Effects without Randomization
Ⅳ. Use of Propensity Scores for Causal Inference
Ⅴ. An Illustration
Ⅵ. Discussion: Issues for Education Research
References
저자소개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9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에 대한 평가 연구
- 자아 존중감에 대한 경향점수를 이용한 평준화 효과 분석
- 학습동기, 자아개념, 학업성취간 관계의 집단간 동등성 분석 - PISA 2006을 중심으로
- 모의실험을 통한 3수준 다차항 다층 성장모형의 고정효과 및 부가가치 추정량의 양호도 탐색
- Drawing Causal Inferences Using Propensity Score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 라쉬모형에 기반을 둔 영재판별을 위한 도형추론지능검사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의 문항분석
- 3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한 교육맥락변인의 효과 분석
- 대학 자율화 및 질 제고와 대학입학전형제도
- 교육 맥락적 변인의 능력집단별 학업성취에의 영향력 분석
- Sample Size and Test Length Effects on Conditional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in Item Response Theory and Generalizability Theory Using Simulation Techniques
- 교육평가연구 게재 원고 모집 안내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