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and Implication of the Quality Enhancement Strategies and Student Selection Policies Based upon the Non-governmental Governing System of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서민원(Min-Won Seo)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1권 제3호, 93~12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실용정부가 새로이 출범함에 따라 대학자율화 정책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이 연구는 대학자율화의 개념과 정당화 논리를 탐색해 보고, 그러한 교육의 지배구조 하에서의 교육의 질 제고 문제, 그리고 새로운 대입전형제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의 교육 경쟁력과 질적 수준이 고등교육으로 높아 갈수록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근본적인 원인 중의 하나가 교육의 지배구조와 시스템이라는 데에 문제의식을 갖고 대학자율화와 교육의 질, 그리고 대학입학전형제도와의 관계성을 탐구하였다. 둘째, 대학교육 차원에서 높은 질적 수준과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자율적인 교육의 지배구조와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며, 그에 입각한 학생선발과 교육의 질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자율 그 자체에 대한 개념 탐색과 정당화 논리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셋째, 정부주도하의 우리나라 대입제도의 특징과 미국의 자율기반 대입제도의 특징을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여 대학자율화에 따른 대입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넷째, 우리나라 교육이 비정상적이고 소모적인 왜곡된 경쟁에서 벗어나 세계적 수준의 질 높은 교육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모든 대학이 유사하게 점수 위주의 학생을 뽑는 데에만 치중하기 보다는 각 대학의 설립취지와 특성화에 기반한 자율적인 학생선발 논리와 정책을 수립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With the beginnning of new practice-oriented-government in Korea, we have prospects that the policies of non-governmental governing system of university edcation will be accelerated.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non-governmental governing system of university edcation and seek for new idea of quality enhancement and student selection under the nongovernmental governing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 current student selection system ha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quality enhanc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The causes of the results from centalized educational system by government.
Second, the educational policies under the non-governmental governing system should strongly be introduced to all schools.
Thirdly, student selection policies of Korea and tha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ill be analyzed and compared.
Finally, in order to achieve high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independent governing system of education and student selec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 current student selection system ha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quality enhanc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The causes of the results from centalized educational system by government.
Second, the educational policies under the non-governmental governing system should strongly be introduced to all schools.
Thirdly, student selection policies of Korea and tha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ill be analyzed and compared.
Finally, in order to achieve high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independent governing system of education and student selec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목차
Ⅰ. 문제의 제기: 대학교육의 질, 무엇이 문제인가
Ⅱ. 대학자율화의 개념과 논리
Ⅲ. 대학자율화에 따른 교육의 질 제고와 대학입학전형제도
Ⅳ. 현행 대학입학전형제도의 과제와 대학자율화에 기반한 개선방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Ⅱ. 대학자율화의 개념과 논리
Ⅲ. 대학자율화에 따른 교육의 질 제고와 대학입학전형제도
Ⅳ. 현행 대학입학전형제도의 과제와 대학자율화에 기반한 개선방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9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에 대한 평가 연구
- 자아 존중감에 대한 경향점수를 이용한 평준화 효과 분석
- 학습동기, 자아개념, 학업성취간 관계의 집단간 동등성 분석 - PISA 2006을 중심으로
- 모의실험을 통한 3수준 다차항 다층 성장모형의 고정효과 및 부가가치 추정량의 양호도 탐색
- Drawing Causal Inferences Using Propensity Score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 라쉬모형에 기반을 둔 영재판별을 위한 도형추론지능검사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의 문항분석
- 3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한 교육맥락변인의 효과 분석
- 대학 자율화 및 질 제고와 대학입학전형제도
- 교육 맥락적 변인의 능력집단별 학업성취에의 영향력 분석
- Sample Size and Test Length Effects on Conditional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in Item Response Theory and Generalizability Theory Using Simulation Techniques
- 교육평가연구 게재 원고 모집 안내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