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방법과 TETE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중학교 영어교육
이용수 305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f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Focus on teaching methods and TETE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고정민(Ko Jungmin)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5 No.1, 383~40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anguage teaching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rooms takes place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and TETE classes. One-hundred and seve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on the web. Among the participants, 8 teacher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eaching methods, some teachers used communicative teaching methods most frequently, while others still preferred grammar-translation and audiolingual approaches to communicative approaches. Pair work was actively used in classes rather than teacher-dominant explanations. Regarding group work, some teachers chose it as one of their preferred activities but others avoided group works for reasons of difficulties with control, time management, and lack of presentation in textbooks. Most teachers considered reading as the most important but dealt with a great amount of listening, reading, and speaking in textbooks. Multimedia were used to stimulate motivation from the students in classes: CD-ROM was us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powerpoint. Most teachers, who used English about 30~50% of their class time, agreed on the effectiveness of TETE and came up with the effective ways in teaching. Teachers had different experiences with native English teachers. Some teachers had doubts about usefulness of native English teachers in classes. To bring about good teaching from native English teachers, they should be acquainted with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and culture and should discuss lesson plans with Korean teachers in advanc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결과와 논의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결과와 논의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pplying Dynamic Assessment to Language Learning - A Case Study of a Heritage Language Classroom
- 스페인어 원어수업에서의 교수 담화 전략
- 통번역 분야 변화에 따른 학부통번역 교육의 새 방향
- The Benefits of Teaching Productive Vocabulary Activity Using Sentence-Building
- 한국과 중국의 영어 교과서 비교 분석 -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不満表明」にみられる語用論的転移
- Processing of L2 English Relative Clauses - Testing the Filler-Gap Hypothesis
- EFL 상황에서의 상호작용 - 교실환경과 준자연환경의 비교 연구
- 표현 활동을 위한 영어 사전의 이해와 활용
- Feedback on EFL Writing - Teacher, Peer, and Self-review
- 초등 학습자의 스토리텔링 말하기 능력 분석 - 6가지 단면 중심으로
- 원어민교사 활용에 대한 초등영어교육 현장의 목소리 - 현황과 개선 방안 탐구
- Writing Strategies and Writing Proficiency in the EFL Classroom
- 중ㆍ고등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조동사 Can의 분포에 대한 코퍼스언어학적 연구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phoric Competence and Language Proficiency
- An Investigation into the Variability of a Writing Test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몰입특별교사제를 통한 초등영어 몰입교육 사례 연구
- Students" Perceptions on English Teachers" Assessment Practices in University
- 첨단 영어교육을 위한 초등영어 전자교재 콘텐츠 개발 및 평가
- 교수방법과 TETE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중학교 영어교육
- 능력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ㆍ쓰기 평가 문항 유형 개발
- Focus on Form 의사소통 수업과 유치 7세 학습자의 Uptake
- 회칙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