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기독교회 미래세대의 교리 인식과 신앙생활 실천

이용수  0

영문명
Doctrinal Awareness and Faith Practice among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Churches
발행기관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저자명
김선경 봉원영 김신주 정성진
간행물 정보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제27권 제2호, 112~160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선교 120주년 기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한국 재림교회의 미래 세대(어린이, 청소년, 청년)의 교리 인식과 신앙생활 실천 현황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이들의 영적 및 전인적 성장을 위한 교회의 역할과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기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전국 단위의 교회 어린이, 청소년, 청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536명의 응답 내용을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인구통계학적 영역, 교리 영역과 신앙 영역 총 세 개의 영역으로 집단별 발달 단계와 이해도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Scheffé 사후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재림교회의 정체성과 관련된 핵심 교리는 동의율이 높은 반면, 사후 영혼 부정, 재림 전 심판 및 엘렌 화잇의 선지성 교리에 대해서는 동의율이 비교적 낮았다. 둘째, 공적 예배 및 교회 활동 참여율은 세대 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신앙생활의 실천 및 가치관 영역에서는 높은 교리 이해와 상반된 낮은 신앙 실천으로 교리적 수용과 실제 삶 사이에 괴리가 있었다. 따라서 교회미래세대의 신앙교육과 정체성 확립, 그리고 실천적이며 관계 중심적인 신앙 형성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120th Anniversary Project of Korean Adventist Mission, aiming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doctrinal awareness and faith practices of the next generation(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in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in Korea. It also seeks to explore the church’s roles and practical strategies to foster their spiritual and holistic growth.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nationwide sample of 536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ffiliated with Adventist church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domains: demographic information, doctrinal understanding, and faith practice, designed with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cognitive capacities of each age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s,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 hoc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first, that while core doctrines related to Adventist identity received high levels of agreement, more distinct doctrines such as the denial of the immortal soul after death, the pre-Advent judgment, and the prophetic role of Ellen G. White showed relatively lower agreement. Second, significant generational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articipation in public worship and church activities. Moreover, despite relatively high levels of doctrinal understanding, respondents demonstrated lower levels of faith practice and values, indicating a gap between doctrinal acceptance and lived faith.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necessity for the church to establish a systematic support strategy that promotes not only doctrinal knowledge but also practical, relationship- centered faith formation among the next gene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경,봉원영,김신주,정성진. (2025).한국 기독교회 미래세대의 교리 인식과 신앙생활 실천.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 27 (2), 112-160

MLA

김선경,봉원영,김신주,정성진. "한국 기독교회 미래세대의 교리 인식과 신앙생활 실천."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 27.2(2025): 112-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