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주도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1:1 학습컨설팅 효과분석

이용수  3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One-on-One Learning Consulting on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발행기관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저자명
황혜연
간행물 정보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8권 제3호, 149~16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운영하는 1:1 학습컨설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전략, 학습역량, 학습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외부 전문기관의 학습전략검사 도구(MLST-II), 대학 자체 학습역량 진단도구, 컨설팅 종료 후 작성된 소감문을 활용해 사전·사후 비교와 질적 분석을 병행했다. 연구 결과, 첫째, 학습전략검사에서 자기주도성 지수(LQ)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시간관리, 노트필기, 집중전략 등 주요 전략 활용 수준도 상승했다. 특히 정체형·성실형 학습자가 주도형으로 전환된 사례는 ‘계획-실행-점검-성찰’의 순환 구조와 개별 피드백이 전략 실행력 제고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둘째, 학습역량 진단에서는 논리적 사고, 의사소통,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능력이 모두 향상되었고, 대부분의 효과크기는 중간 이상이었다. 그러나 협업력 변화는 미미하여 개별 중심 컨설팅의 한계를 시사했다. 셋째, 소감문 분석 결과, 학생들은 시간관리, 계획 점검, 정리 전략 실천을 통해 학습 습관을 형성하고, 학습 태도와 자기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고 보고했다. 반면 일부 학습자는 전략 활용이 감소하는 역전 현상을 보여, 맞춤형 접근 및 사후 점검 체계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1:1 학습컨설팅은 대학생의 학습 특성을 진단하고 실행 가능한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과 학습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교수·학습 지원 모델임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해, 향후 자기주도학습 지원 프로그램 설계 시 실행 중심 피드백, 혼합형 활동, 지속적 사후 관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one-on-one learning consultation programs, operated by a university’s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o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learning competencies, and changes in learning perception. To this end, pre- and post-tests using an external standardized learning strategy assessment tool (MLST-II), the university’s own learn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and reflective essays written after the consultation were analyzed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strategy assessment reveal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Learning Quotient (LQ), along with increased proficiency in key strategies such as time management, note-taking, and concentration strategies. Notably, cases where “stagnant” or “diligent” learners shifted to “leading” learners demonstrate that the cyclical structure of “planning–execution–monitoring–reflection” combined with individualized feedback is effective in enhancing strategy implementation. Second, the learning competency assessment showed improvements in logical thinking, communica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with most effect sizes being moderate or higher. However, changes in collaboration skills were minimal, suggesting limitations of an individually centered consultation model. Thir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flective essays indicated that students not only developed study habits through time management, planning, monitoring,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but also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learning attitudes and self-awareness. In contrast, some students exhibited a decline in strategy use, highlighting the need for tailored approaches and follow-up monitoring systems. Overall, the findings confirm that one-on-one learning consultations can serve as a practical instructional support model that diagnoses individual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provides actionable strategies to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competencie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program effectiveness and suggests that future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programs should incorporate performance-oriented feedback, blended activities, and continuous follow-up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혜연. (2025).자기주도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1:1 학습컨설팅 효과분석. 대학 교수-학습 연구, 18 (3), 149-167

MLA

황혜연. "자기주도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1:1 학습컨설팅 효과분석." 대학 교수-학습 연구, 18.3(2025): 149-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