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대학 연계 진로 프로그램 운영 사례 및 시사점: 교육학 분야 방학 중 집중수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Case Studies and Implications of High School-University Collaboration Career Programs: Focusing on Intensive Vacation Courses in the Field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박수정 조수진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8권 제3호, 81~11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고등학생의 진로 탐색을 지원하기 위한 대학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지역마다 관련 사업이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는 시도교육청에서 추진하여 지역대학에서 운영한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를 정리하고 학생들의 만족도와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유사한 프로그램과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전교육청의 위탁을 받아 고교-대학 진로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운영한 교육학 분야의 방학 중 집중수업 사례를 정리하고, 설문조사와 초점 집단 면담(FGI)을 통해 학생들의 만족도와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교육과 교육학의 이해와 학생 진로를 연계하여 학생 참여형으로 설계 및 운영되었고, 높은 만족도와 긍정적인 학습경험이 나타났다.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 보장 및 대학의 고교 이해와 지역사회 연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진로 관련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운영과 장기적인 프로그램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university–high school collaboration programs that support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nd related initiatives are being implemented across various reg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imilar programs and policies by presenting operational cases of collaborative programs between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organized by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implemented by local universities, and by analyzing students’ satisfaction and experiences. To this end, we examined a case of an intensive break course in the field of education, conducted as part of a career-oriented high school–university collaboration program commissioned by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tudents’ satisfaction and experiences were analyzed through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The progra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as a student-centered model that integrated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studies with students’ career development. Results indicat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nd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High school–university collaboration programs were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support their autonomy in subject selection, and contribute to fostering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universities and high schools as well as strengthening connections with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career-related collaboration programs and emphasizes the need for their long-term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사례 및 자료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그릿, 진로태도성숙, 대학몰입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