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Predictive Factors for Student Attrition of Local Private University in Non-capital Region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김성주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8권 제3호, 27~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우리나라는 학령인구 감소와 학업중단 학생 수의 증가라는 문제가 나타나며 사립대학, 특히 비수도권 소재의 대학들은 존립 위기를 겪고 있다. 이런 위기를 학령인구 감소 문제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대학 내 문제인 학업중단 학생 수 감소 개선 노력을 통해 해결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수도권 사립대학인 K대학을 대상으로 학업중단 예측요인분석을 통해 학업중단 문제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의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랜덤포레스트 및 로짓모형을 통해 학업중단의 예측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진로성숙, 대학몰입이 높을수록 학업중단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과적 수업전략이 높을수록 오히려 학업중단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업중단 감소를 위해, 대학몰입, 진로성숙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상담 등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대학 차원의 분석을 통해 학업중단 관련 요인을 지속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으며, 학업성취도 중심이 아닌 학생개인특성에 따른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Korean higher education has been facing a dual crisis: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student attrition, particularly threatening the sustainability of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in non-metropolitan areas. This issue should not be regarded solely as a demographic problem but rather as one that requires active institutional efforts to reduce student attri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edictors of student attrition and propose solutions by analyzing K University, a private institution located outside the metropolitan area.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K-NSSE) between 2020 and 2023 were utilized, and both Random Forest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employed to extract the predictors of student attri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levels of career maturity and university engagement were associated with lower probabilities of dropout. Second, paradoxically, higher levels of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probability of student attri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counseling services to enhanc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university engagement in order to reduce student attrition rates. Furthermor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ducting continuous institutional analyses of attrition-related factors and shifting from an achievement-centered approach to providing programs tailored to individual student characteristics.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그릿, 진로태도성숙, 대학몰입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