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In-Person and Remote Learning Methods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Outcomes
발행기관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저자명
한규은 오경은
간행물 정보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8권 제3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면 및 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번의 홀수/짝수를 기준으로 무작위 할당된 대학생 134명(여성 83명, 61.9%; 남성 51명, 38.1%)을 대상으로 수업 내용 인출 정확도, 수업 형태 만족도, 향후 수업방식 선호도, 자기주도 학습 정도, 수업 참여 행동 지표를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수업 형태 만족도는 자기주도 학습 정도와 수업 참여 행동 지표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분산분석 결과, 대면 수업은 수업 내용 인출 정확도와 수업 참여 행동에서 우위를 보인 반면, 비대면 수업은 수업 형태 만족도와 자기주도 학습 정도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특히,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이 향후 대면 수업을 더 선호하는 ‘박탈 가치 상승’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이 서로 다른 학습 측면에서 상호보완적인 교육적 장점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교육 목표와 맥락에 따라 적절한 수업방식을 선택하거나 혼합형(blended) 학습을 설계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in-person and remote learning instructional modalities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outcomes. A total of 134 college students (83 females, 61.9%; 51 males, 38.1%)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n-person or remote learning conditions based on odd or even student identification numbers. Measures included content recall accuracy, instructional format satisfaction, future learning modality preferences, self-directed learning levels, and behavioral engagement indicator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instructional format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levels and behavioral engagement indicators. ANOVA results demonstrated that in-person instruction showed superiority in content recall accuracy and behavioral engagement, whereas remote learning was more effective in promoting instructional format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levels. Notably, students who experienced remote learning exhibited a stronger preference for future in-person instruction, demonstrating a “deprivation value enhancement” phenomen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person and remote instructional modalities possess complementary educational advantages across different dimensions of learning,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selecting appropriate instructional approaches based on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xts, or designing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규은,오경은. (2025).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학 교수-학습 연구, 18 (3), 1-18

MLA

한규은,오경은.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학 교수-학습 연구, 18.3(2025):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