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대학혁신 인식 수준과 대학몰입 간에 학습참여의 매개효과
이용수 3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university innovation and university commitment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유지현 심현애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8권 제3호, 125~1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학혁신 인식 수준, 학습참여, 대학몰입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혁신 인식수준과 대학몰입 간에 학습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하는 2024년 NASEL-i(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innovation)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충남 소재 S대학교의 NASEL-i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혁신 인식에 대한 수준 변인과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도전적 학습활동 및 학습스터디 활동으로 구성된 학습참여 변인, 대학몰입 변인을 사용하였으며, 최종 분석 대상은 총 621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혁신 인식 수준과 학습참여는 대학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혁신 인식 수준은 학습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혁신 인식 수준과 대학몰입 간에 학습참여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이 인식하는 대학혁신 수준은 대학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뿐 아니라 학습참여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교수학습 지원, 대학 교육과정 운영 등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level of awareness of university innovation,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university commit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between university innovation awareness and university commitment. To this end, the 2024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innovation (NASEL-i) data conducted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Using the NASEL-i data of S University in Chungnam, the level variable for university innovation perception, learning participation variable composed of 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challenging learning activity, and learning study activity, and university commitment variable were used, and the final analysis target was 621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cognition of university innovation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commitment. Second, the level of recognition of university inno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articip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betwee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university innovation and university commitment.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level of university innovation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university commitment,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participation in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university curriculum opera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