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주체성 강화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역량기반교육 통합 교육과정 설계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Curriculum Design for Enhancing University Students' Agency through Integr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기희경 이은화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8권 제3호, 45~7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주체성 강화를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역량기반교육(CBE)을 통합하는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3년까지의 국내외 학술 문헌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미국, 스웨덴, 핀란드, 캐나다, 네덜란드, 한국의 고등교육 사례를 대상으로 한 다중 사례 연구를 결합한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은 자료 삼각검증, 연구자 간 상호 검토, 전문가 타당화 과정을 통해 확보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 내 지속가능성 가치의 내재화, 역량기반 체계 구축, 학제 간 학습 촉진, 프로젝트 기반 학습 활성화가 핵심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학생 주체성 강화를 위한 개인적·관계적 차원의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ESD와 CBE의 상호 보완적 통합을 통해 고등교육에서 학생 주체성을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 역량을 함양하는 구체적 설계 원리와 실행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urriculum design strategy that integrate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to enhance student agency in higher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SD and CBE were analyzed, and case studies from the United States, Sweden, Finland, Canada, the Netherlands, and South Korea were examined. The findings identified key factors including embedding sustainability values into curricula, establishing competency-based frameworks, promoting interdisciplinary learning, and activating project-based learning.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student agency at both individual and relational levels were emphasized. This study contributes to suggesting a future-oriented innovation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through student-centere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그릿, 진로태도성숙, 대학몰입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