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 결정요인으로서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Social Capital as a Determinant of Economic Inequality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황윤진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6권 제2호, 151~16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한국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적 자본은 신뢰, 사회적 네트워크, 시민의 사회적 참여 등 연대와 협력 관계 속에서의 질적 특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기존의 경제적 자원 분배구조에 대한 설명력을 비물질적 요인 차원에서 보완해 줄 수 있는 자산으로 간주된다. 실증 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의 핵심 구성 요소인 신뢰, 사회적 관계망, 사회적 참여는 모두경제적 불평등을 유의미하게 완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였으며, 특히 신뢰가 가장 큰 설명력을지닌 변수로 나타났다. 계층별 분석에서는 저소득층에서 사회적 자본의 불평등 완화 효과가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점은 사회적 자본이 구조적 취약계층에 대한 중요한 완충장치로 기능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경제적 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 설계에 있어 물질적재분배 전략을 넘어서 사회적 자본의 제도적 육성과 계층 맞춤형 확충 정책이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사회적 자본을 포용적 성장과 지속가능한 사회통합의 전략적 기제로 재정립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social capital—an area of growing interest in both academic and policy circles—on economic inequality in Korean society. Social capital, which encompasses trust, social networks, and civic participation, represents the qualitative dimensions of solidarity and cooperation and serves as a non-material explanatory variable that complements conventional frameworks of economic resource distribution. The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the cor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trust, social networks, and civic participation—contribute significantly to mitigating economic inequality, with trust emerging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 stratified analysis reveals that the inequality-reduc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s particularly pronounced among low-income groups. This suggests that social capital plays a crucial role for structurally vulnerable populations. The findings further underscore that policies aimed at alleviating economic inequality should integrate institutional development and the strategic expansion of social capital alongside material redistribution measures. Such an approach redefines social capital as a vital mechanism for promoting inclusive growth and achieving sustainable social integ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Ⅲ. 한국 사회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불평등 추이
Ⅳ. 추정 모형
Ⅴ. 추정 결과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민노후보장패널데이터를 활용한 가구 지출 예측 모델 연구 - 인공지능 모델 기반 접근 -
- 사회경제적 변수와 감정촉발요인이 사망위험 저감을 위한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맞벌이 부부의 시간빈곤이 여성의 일-가정 양립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노년기 정서 경험의 특성과 정서적 적응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고립·은둔청(소)년들의 일상생활 회복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모형탐구 - NPO 사례를 중심으로 한 마주침과 얽힘에 관한 관계망 형성기 -
- 멀티 페르소나에 의한 K-Pop 아이돌의 정체성 재구성 전략 연구: 제니의 ‘Ruby’ 앨범 사례를 중심으로
- 2024년 개정된 북한 민법상 물건 규정의 특징과 평가
-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의 교육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도시형 인가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 대면 및 실시간 비대면 환경에서 중국인 대학원생의 한국어 발표 불안 양상 비교 연구
-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 결정요인으로서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 공개형 블록체인 시스템 기반 대표자 선정 기법에 관한 연구 동향 및 고찰
- 동남아시아 게임 시장 진출 전략 비교 및 분석 - 한국과 중국 게임사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매직서클을 형성할 수 없는 여성 게이머들: 여성 게이머와 규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