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년기 정서 경험의 특성과 정서적 적응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Theoretical Review on Emotional Experiences and Emotional Well-Being in Later life
발행기관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저자명
고진경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제16권 제2호, 16~28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년기 개인의 삶의 질과 밀접하게 관련된 정서 경험의 변화와특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들 이론이 제시하는 정서적 변화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노년기는 신체적, 인지적 기능저하와 사회적 역할의 축소등 다양한 변화에 직면하는 시기지만 정서조절 능력은 오히려 향상되며 긍정적인 정서경험이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서적 적응이론, 사회정서적 선택이론, 역동적 통합이론, 정서 통제이론을 중심으로 노년기 정서경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고, 정서조절, 동기의 변화, 긍정효과, 정서복합성 및 정서최적화 등 주요 개념을 통해 노년기의 정서조절이 삶의 만족도 및 안녕감과 어떤 연관이 있는가를 설명하였다. 또한 성차, 가족, 사회적 관계, 정서와 인지의 상호작용등 정서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검토하였고, 노년기 정서적 안정을 위한 실천적 제언으로 정서조절 전략, 사회적 관계 유지, 가상자연환경 활용, AI 기반 가상 동반자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노년기 정서경험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이를 통해 긍정적인 노화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experiences in later life and examine the theoretical frameworks that explain emotional regulation and adaptation in older adults. Focusing on key theories such as Emotional Adaptation, Socioemotional Selectivity, Dynamic Integration, and Emotion Control Theories, this study analyzed how emotional change during old age contributes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Core concepts, such as emotional complexity and optimization,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how older adults manage and integrat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contextual factors including sex differences,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interplay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lder adulthood is marked by enhance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centered on positive emotions, which facilitate adaptive coping and emotional resilience. Additionally,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suggestions for enhancing older adults’ emotional well-being, including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aintaining social connections, using nature, and implementing AI-based virtual companions.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emotional well-being in aging popul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진경. (2025).노년기 정서 경험의 특성과 정서적 적응에 대한 이론적 고찰. 미래사회, 16 (2), 16-28

MLA

고진경. "노년기 정서 경험의 특성과 정서적 적응에 대한 이론적 고찰." 미래사회, 16.2(2025): 16-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