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면 및 실시간 비대면 환경에서 중국인 대학원생의 한국어 발표 불안 양상 비교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Comparative Study on Korean Presentation Anxiety Patterns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in Face-to-Face and Real-Tim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발행기관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저자명
BAI YUNHE 김은호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제16권 제2호, 62~78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대면 수업과 실시간 비대면수업에서의 발표 수행 시 경험하는 불안 양상과 그 원인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수도권 소재 C 대학교와 강원도 소재 K 대학교의 중국인 대학원생 120명(대면 60명, 비대면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Horwitz 외(1986)가개발한 FLCAS를 Aida(1994)가 보완한 버전을 기반으로 2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SPSS 26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국인 대학원생들은 ‘의사소통 불안’, ‘발표에 대한 두려움’, ‘불안 시 나타내는 행위’ 등 모든 하위 요인에서 평균 3점 이상의 높은 불안 수준을 보였으며, 특히 ‘발표에 대한 두려움’(M=3.68)이 가장 두드러졌다. 대면과 비대면 발표 간 불안 수준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대면 발표에서는 의사소통 불안이, 비대면 발표에서는 신체적 불안 반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고급 한국어 능력을 갖춘중국인 대학원생들도 여전히 높은 발표 불안을 경험하며, 비대면 환경이 발표 불안을 완화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내용 이해력과 질의응답 대응 능력 향상, 발표 불안 감소를 위한 통합적 교육 접근이 필요함을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anxiety patterns experienced by Chinese graduate students during presentations in face-to-face and real-time online environments at Korean universities. A total of 120 Chinese graduate students (60 face-to-face and 60 online) are surveyed from two universities via a 23-item questionnaire based on the FLCAS developed by Horwitz et al. (1986) and modified by Aida (1994). The results show high anxiety levels (above 3.0) across all subfactors, i.e., communication anxiety, fear of presentation, and anxiety-induced behaviors, with fear of presentation (M=3.68) indicating the highest level.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observed between face-to-face and online presentation anxiety levels. However, face-to-face settings induced a slightly higher level of communication anxiety, whereas online environments triggered more physical-anxiety responses. This study confirms that even graduate students with advanced Korean proficiency experience high presentation anxiety and that online environments do not necessarily alleviate this anxiety.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for integrated educational approaches in academic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nhance content comprehension, improve Q&A response capabilities, and reduce presentation anxiety in both learning enviro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BAI YUNHE,김은호. (2025).대면 및 실시간 비대면 환경에서 중국인 대학원생의 한국어 발표 불안 양상 비교 연구. 미래사회, 16 (2), 62-78

MLA

BAI YUNHE,김은호. "대면 및 실시간 비대면 환경에서 중국인 대학원생의 한국어 발표 불안 양상 비교 연구." 미래사회, 16.2(2025): 62-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