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4년 개정된 북한 민법상 물건 규정의 특징과 평가
이용수 0
- 영문명
- The Traits and Evaluation of The Thing Provisions of The Amendment North Korean Civil Law in 2024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김영규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6권 제2호, 79~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물건 일반, 우리 민법상 물건의 실정법상의 분류와 강학상의 분류를 기준으로 2024년개정된 북한 민법상 물건 규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통일 민법에서의 수용 가능성과 그 한계를 규명하고 있다. 먼저 물건 일반과 관련해서 2024년 개정 북한 민법은 개정 전민법과 달리 물적 담보로서 저당물 등을 표기하고 있고 각칙에서 종래보다 물건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통일 민법에서 수용 가능한 요소이다. 그러나 개정 북한 민법은 물건을 생산수단과 소비품으로 구별하고 있으며, 이는 사유재산을 부정하는 것으로서 통일민법에서 폐기하는 경과규정을 두어야 한다. 다음으로 우리 민법상 물건의 실정법상의 분류와관련해서 2024년 개정 북한 민법이 개정 전 민법과 달리 임대인·유치권자의 과실수취권과의제부동산을 명시하는 것은 통일 민법에서 수용 가능한 요소이다. 그러나 개정 북한 민법이우리 민법과 달리 모든 무주물에 대해 국가귀속을 규정하는 것, 유치물을 동산에 한정하는 것등은 통일 민법에서 폐기하는 경과규정을 두어야 한다. 끝으로 우리 민법상 물건의 강학상의분류와 관련해서 2024년 개정 북한 민법이 개정 전 민법과 달리 화폐와 관련해서 담보금과담보금계약을 명시한 것, 불가분물을 대상으로 한 연대채무자 사이의 몫에 대해 평등을 명시한 것은 통일 민법에서 수용 가능한 요소이다. 그러나 개정 북한 민법이 공민의 유휴자금을대상으로 주민자금 동원 이용계약을 도입한 것은 개인의 지위를 형해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일 민법에서 폐기하는 경과규정을 두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and evaluates the characteristics of esthe “Thing provisions” in the 2024 amendment to the North Korean Civil Law by analyzing their compatibility with a unified civil law framework and any limitations. The amended North Korean Civil Law introduced notable changes, including the more frequent use of such terms as “things” compared to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inclusion of mortgaged property, which aligns with the principles of unified civil law.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eans of production and consumer goods, which contradicts the concept of private property, should be abolished through transitional regulations under unified civil law. The amendment also outlines specific provisions regarding the rights of lessors and persons with a right of retention, offering potential scope for integration with unified civil law. However, other provisions, such as the state’s claim over all ownerless property and the limitation of retained items on movable goods, should be abolished through transitional regulations. Additionally, the new provisions regarding security money and indivisible goods align with existing legal principles but the introduction of resident fund mobilization contracts should be abolished by through transitional regulations within unified civil law.
목차
Ⅰ. 서 론
Ⅱ. 물건 일반과 2024년 개정 북한 민법
Ⅲ. 우리 민법상 물건의 실정법상의 분류와 2024년 개정 북한 민법
Ⅳ. 우리 민법상 물건의 강학상의 분류와 2024년 개정 북한 민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민노후보장패널데이터를 활용한 가구 지출 예측 모델 연구 - 인공지능 모델 기반 접근 -
- 사회경제적 변수와 감정촉발요인이 사망위험 저감을 위한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맞벌이 부부의 시간빈곤이 여성의 일-가정 양립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노년기 정서 경험의 특성과 정서적 적응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고립·은둔청(소)년들의 일상생활 회복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모형탐구 - NPO 사례를 중심으로 한 마주침과 얽힘에 관한 관계망 형성기 -
- 멀티 페르소나에 의한 K-Pop 아이돌의 정체성 재구성 전략 연구: 제니의 ‘Ruby’ 앨범 사례를 중심으로
- 2024년 개정된 북한 민법상 물건 규정의 특징과 평가
-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의 교육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도시형 인가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 대면 및 실시간 비대면 환경에서 중국인 대학원생의 한국어 발표 불안 양상 비교 연구
-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 결정요인으로서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 공개형 블록체인 시스템 기반 대표자 선정 기법에 관한 연구 동향 및 고찰
- 동남아시아 게임 시장 진출 전략 비교 및 분석 - 한국과 중국 게임사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