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의 교육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도시형 인가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2

영문명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 Youth: Focusing on Urba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발행기관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저자명
조영아 김희정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제16권 제2호, 99~12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의 교육 성과를 탐구하기 위해 특정 학교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형 대안학교인 Y 학교의 졸업생 및 교사 27명을 대상으로 교육성과에 대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고, 면담 결과를 주제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탈북청소년 대안학교는 ‘전인적 회복으로 나아감’, ‘함께 살아가는 힘을 얻게 됨’, ‘학업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됨’, ‘진로 성숙이 일어남’, ‘통일 대비 남북 교육 통합의 기초를다짐’이라는 교육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성과를 이끈 주요 요인으로는 ‘교사의 진심과 전문성’, ‘교육철학의 실현’, ‘교육적 기초를 확립하는 맞춤형 교육과정’, ‘물질적 지원’, ‘지지적이고 안정적인 교육환경’이 나타났다. 향후 과제로는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교육과정’, ‘안정적 교육환경 구축’, ‘제3국 출신 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 ‘교사의 소진 예방’ 등이 제시되었다. 본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의 성과를 탈북청소년의 전인적 발달과사회적 자본 확립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향후 실천적 과제로서 교사의 사회적 연결망강화를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함양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focused on a specific school to explore the educational outcomes of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7 teachers and graduates of Y School, an urban alternative school, to examine educational outcomes. The resul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a thematic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se schools achieved the following educational outcomes: progression toward holistic recovery, the ability to live together in harmony, students’ confidence in their academic pursuits, career maturity, and the foundation for North-South educational integration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Key contributing factors included teachers’ sincerity and expertise, realization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a tailored curriculum establishing an educational foundation, material support, and a supportive and s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Future challenges include developing a societal curriculum, establishing a stable eductional environment, designing a tailored curriculum for students from Third World countries, and preventing teacher burnou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of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 youths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holistic development and social capital establishment. Enhancing teachers’ capacity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through stronger social networks is proposed as a practical tas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아,김희정. (2025).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의 교육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도시형 인가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미래사회, 16 (2), 99-120

MLA

조영아,김희정.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의 교육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도시형 인가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미래사회, 16.2(2025): 99-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