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립·은둔청(소)년들의 일상생활 회복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모형탐구 - NPO 사례를 중심으로 한 마주침과 얽힘에 관한 관계망 형성기 -
이용수 3
- 영문명
- Exploring a Community-Based Model for Supporting the Daily Life Recovery of Socially Withdrawn Youths: Network Formation through Encounters and Entanglements in an NPO Case Study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김윤나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6권 제2호, 29~3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립·은둔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 NPO 지원 사업 모델을 탐색하여 향후 지역사회에서 증가해가고 있는 고립·은둔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가족을 포함한 지역공동체성을 활성화할 시킬 수 있는 요인들과 서비스 모형을 창출해보고자 실시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고립·은둔청소년의 개념 및 특성, 현황, 관련 지원 정책 및 서비스, 지원조례 현황을 살펴보고 사례 연구(case study)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NPO 고립·은둔청(소)년을 위한 서비스 모형 설계를 분석하고 사업의 효과성 내용을 검증해본 결과 인프라 구축의필요, 1:1 전담 활동 서비스를 통한 참여자들의 긍정적 행동 변화 증가, 부정적 행동의 감소, 부모 부정적 정서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모들의 부정적 정서 변화와 존중에 대한 부정적 태도도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곱 가지 제언과 “지역사회 다함께 모형(청소년, 청년, 고립, 은둔, 가족유형을 세밀하게 고려하여 예방적접근 차원과 서비스의 중복성을 최소화하고 기존 서비스 체계 최대 활용한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향성과 구조)”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a community-based support model developed by non-profit organizations (NPOs) for socially withdrawn youth, with the goal of addressing their psychosocial challenges and fostering stronger family and community integration. Employing a case study methodology, the research analyzes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current status, relevant policies, and local ordinances pertaining to socially withdraw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one-on-one support services led to increased positive behavioral changes and decreased negative behaviors among participants, along with improved emotional responses and attitudes among their parents. Based on these outcomes, the study proposes the “Community Together Model,” which emphasizes a preventive, needs-based approach, minimizes service redundancy, and ensures continui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existing support systems such as Dream Start, CYS-Net, and Youth Future Center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민노후보장패널데이터를 활용한 가구 지출 예측 모델 연구 - 인공지능 모델 기반 접근 -
- 사회경제적 변수와 감정촉발요인이 사망위험 저감을 위한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맞벌이 부부의 시간빈곤이 여성의 일-가정 양립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노년기 정서 경험의 특성과 정서적 적응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고립·은둔청(소)년들의 일상생활 회복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모형탐구 - NPO 사례를 중심으로 한 마주침과 얽힘에 관한 관계망 형성기 -
- 멀티 페르소나에 의한 K-Pop 아이돌의 정체성 재구성 전략 연구: 제니의 ‘Ruby’ 앨범 사례를 중심으로
- 2024년 개정된 북한 민법상 물건 규정의 특징과 평가
-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의 교육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도시형 인가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 대면 및 실시간 비대면 환경에서 중국인 대학원생의 한국어 발표 불안 양상 비교 연구
-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 결정요인으로서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 공개형 블록체인 시스템 기반 대표자 선정 기법에 관한 연구 동향 및 고찰
- 동남아시아 게임 시장 진출 전략 비교 및 분석 - 한국과 중국 게임사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