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맞벌이 부부의 시간빈곤이 여성의 일-가정 양립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Effect of Time Poverty in Dual-Income Couples on Women’s Work-Family Balance Satisfaction
발행기관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저자명
오유라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제16권 제2호, 1~1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성별, 지위, 계층 등에 따라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시간이 상이하다. 이에 주어진 자유시간이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는데 부족함을 표현하는 시간빈곤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성별에 따라 시간 사용이 다르다는 논의에 기반하여 맞벌이 부부의 시간빈곤이 여성의 일-가정양립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9차 웨이브(2022년)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여성의 시간빈곤이 여성의 일-가정 양립 만족에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남성의 시간빈곤은 여성의 일-가정 양립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유의미하지않았다. 셋째, 가족요인으로 미취학 자녀 수와 취학 자녀 수는 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가족생활 행복도는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시간빈곤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들의 삶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사회환경 및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ime is a finite resource, but its distribution and use vary by gender, social status, and class. Accordingly, the concept of time-poverty, which expresses the insufficient free time given to lead a humane life, emerged. Drawing on the premise that time use differs significantly by gende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mong dual-income couples affects women’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family balance. Using data from the 9th wave(2022)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oWF), this study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men’s experience of time-pover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ir work-family balance satisfaction. Second, women’s subjective perceptions of family life, such as happiness and economic statu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work–family balance satisfaction. Third, among family-related variables,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omen’s work-family balance satisfac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ersistent gender disparity in time use within dual-income households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institutional and policy-level interventions to alleviate time poverty and promote gender-equitable family support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유라. (2025).맞벌이 부부의 시간빈곤이 여성의 일-가정 양립 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래사회, 16 (2), 1-15

MLA

오유라. "맞벌이 부부의 시간빈곤이 여성의 일-가정 양립 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래사회, 16.2(2025): 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