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부모소명 척도의 문항분석

이용수  0

영문명
Subjective Sense of Calling in Childrearing Scale (SSCCS) Using Item Response Theory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정다은 김유니 여예인 양수진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2호, 93~10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항반응이론의 등급반응모형을 적용해 부모소명 척도 개별 문항의 적절성 및 척도 개선의 가능성을 측정학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명 이상의 자녀를 양육 중인 국내 부모1,470명(M = 46.89세, SD = 9.70)을 대상으로 부(529명)와 모(941명) 집단별로 자료를 분석하는단일집단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였다. 등급반응모형에 기반한 문항모수 및 정보함수 추정 결과, 전체문항의 변별도는 보통에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범주경계난이도의 경우 항상 자녀에 대해 생각하는 것(7, 8, 9번), 열정을 갖고 양육에 참여하며 이를 자신의 삶을 성장시키는 과정으로 지각하는 것(10, 11번)과 관련된 문항에 동의하기 매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내 결과를 상대적으로 비교하면, 부모소명의 인식 요인 문항(7, 8, 9번)은 여성 집단에서 서로 다른 잠재 특성 수준을 가진 응답자를변별하는 정도가 낮고 제공하는 정보량이 적었으나, 남성 집단에서는 높은 변별도와 적절한 정보량을보였다. 이는 성별에 따라 부모 됨을 경험하고 인식하는 내용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고전검사이론보다 측정학적으로 엄격한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부모소명 척도의 문항별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척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자녀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인식과 관련된 문항의 수정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s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ubjective Sense of Calling in Childrearing Scale (SSCCS) using the graded response model (GRM) of item response theory (IRT). Single-group IRT analyses were conducted on data from 1,470 South Korean parents (mean age = 46.89 years, SD = 9.70, 529 fathers, 941 mothers). Results from the item parameter and information function estimations showed that all items had moderate to very high discrimination. For category threshold difficulty parameters, items related to constant child awareness (items 7-9) and passionate parenting as personal growth (items 10-11) were very easy to endorse. In a relative comparison within groups, awareness factor items (7-9) showed low discrimination and information in the female group but higher discrimination and adequate information in the male group, suggesting possible differences in how parenting experiences are perceived. This study enhances understanding of the SSCCS by applying a more rigorous psychometric method than classical test theory (CTT) and proposes modifications for items measuring high levels of child awarenes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다은,김유니,여예인,양수진. (2025).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부모소명 척도의 문항분석. 인간발달연구, 32 (2), 93-104

MLA

정다은,김유니,여예인,양수진.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부모소명 척도의 문항분석." 인간발달연구, 32.2(2025): 93-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