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유아관계 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표면 및 내면 정서노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Teacher Self-Efficacy for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eachers’ Burnout in Childcare Centers: The Mediating Effect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Emotional Labor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최윤옥 민하영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2호, 105~11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유아관계 효능감이 표면 및 내면 정서노동을 매개로 보육교사의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35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교사-유아관계 효능감, 표면 및 내면 정서노동, 소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유아관계 효능감은 보육교사의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유아관계 효능감은 표면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유아관계 효능감은 내면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보육교사의 표면행동은 소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보육교사의내면행동은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보육교사의 교사-유아관계 효능감은 표면 및 내면행동을 매개로 소진에 직⋅간접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소진 예방을 위한 방안 마련 시보육교사의 교사-유아관계 효능감 증진을 우선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through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emotional labo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35 childcare center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on teacher- child relationship,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21.0 and AMOS 2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child relationship efficac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burnout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Second, teacher-child relationship efficac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urface acting. Third, teacher-child relationship 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ep acting. Fourth, childcare teachers' surface act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urnout. Fifth, childcare teachers' deep act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burnout. Sixth, the efficacy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f childcare teacher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burnout through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emotional lab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devising measures to prevent the burnout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it is necessary to give priority to enhancing the efficacy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셜 미디어 상향 비교와 양육능력불안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물질주의 가치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LEGO Serious Play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다차원적 효과 평가
- 대학생이 회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 중년 남성의 체면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순차적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수학성장마인드셋이 수학적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수효 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부모소명 척도의 문항분석
- 교사-유아관계 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표면 및 내면 정서노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 시기 학업 무기력의 발달양상과 학업열의, 또래애착의 동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한국판 단축형 예일음식중독척도 2.0(K-mYFAS 2.0) 타당화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한 노인 우울 연구 동향 분석
- 간호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억제를 통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