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 남성의 체면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hemy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Among Middle-Aged Me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김학환 장유진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2호, 19~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체면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0 ~ 59세의 중년 남성 4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 3.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결과, 첫째, 거부민감성은 체면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침묵은 체면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은 체면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년 남성들의 체면민감성이높을수록 거부민감성이 높아지고, 이는 다시 자기침묵을 증가시켜 결국 외로움을 심화시키는 연쇄적인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한국 중년 남성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외로움의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emy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among middle-aged men. A total of 408 men aged 40 to 59 participated in an online self-report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3.3.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rejection sensitiv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emy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Second, self-silencing also fu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Third,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emy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er chemyon sensitivity among middle-aged men increases rejection sensitivity, which in turn heightens self-silencing, ultimately exacerbating feelings of loneli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lonelines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South Korean middle-aged men.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셜 미디어 상향 비교와 양육능력불안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물질주의 가치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LEGO Serious Play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다차원적 효과 평가
- 중년 남성의 체면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순차적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수학성장마인드셋이 수학적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수효 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부모소명 척도의 문항분석
- 교사-유아관계 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표면 및 내면 정서노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 시기 학업 무기력의 발달양상과 학업열의, 또래애착의 동시효과
- 대학생이 회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