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시기 학업 무기력의 발달양상과 학업열의, 또래애착의 동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cademic Helplessness During Adolescence and the Concurrent Effects of Academic Engagement and Peer Attachment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하아영 정선영 허인화 조한익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2호, 119~13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시기 학업 무기력의 발달양상과 더불어 학업열의, 또래애착의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1패널 1차(중1) ∼ 6차(고3) 2,590명 자료이다. 연구 결과 중등학교 시기 학업 무기력은 선형기울기가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이차함수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시기 학업 무기력의종단적 변화에 대한 학업열의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업열의가 높을수록 학업 무기력은 낮아지며 이러한 영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무기력의 종단적 변화에서 또래애착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학업 무기력은 높아지다가 다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시기 학업 무기력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학업열의와 또래애착이 학업 무기력의 부적인 영향을 완충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cademic helplessness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ademic engagement and peer attachment.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specifically the first through sixth waves of the first-year middle school panel, comprising 2,590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helplessness followed a quadratic pattern, increasing linearly and gradually decreas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on the longitudinal change of academic helplessness during adolescence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academic engagement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academic helplessness, although this effect diminished over time. Also, the study showed that higher peer attachment initially correlated with increased academic helplessness, which then decreased later 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highlights a pattern of academic helplessness during adolescence that initially increase and then decrease. Additionally, it confirms that both academic engagement and peer attachment can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academic helplessnes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 시기 학업 무기력의 발달양상과 학업열의, 또래애착의 동시효과
-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셜 미디어 상향 비교와 양육능력불안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물질주의 가치관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이 회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 중년 남성의 체면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순차적 매개효과
-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LEGO Serious Play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다차원적 효과 평가
- 보육교사의 수학성장마인드셋이 수학적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수효 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부모소명 척도의 문항분석
- 교사-유아관계 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표면 및 내면 정서노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