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 연구-말하기 효능감 양상과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Korean Speaking Self-Efficacy among Chinese Native Speakers-An Analysis of Patterns and Influential Factors -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심혜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27권 제2호, 91~12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 부속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효능감의 양상을 분석하고, 각 효능감 요인이 학습자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강소산이 개발한 말하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일부 수정·보완하여 총 24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하여 중국어권 학습자 97명을 대상으로 말하기 효능감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어권 학습자는 ‘토론 및 토의’와 관련된 말하기 효능감이 가장 낮은 반면 ‘높임말 사용’과 관련된 말하기 효능감은 가장 높은 양상이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이 중 ‘한국어 화용 효능감’이 평균값 중 가장 높았고, ‘말하기 실제 수행 효능감’이 평균값 중 가장 낮았다. 또한 학습자 변인 중 최초 학습 환경, 학습 시간, 말하기 기회, 한국어 숙달도(TOPIK), 한국어로 말할 때 느끼는 긴장감 모두 말하기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양적 분석을 통해 한국 대학 부속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효능감 전반의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학습자 변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orean speaking self-efficacy of Chinese native speakers enrolled in a university-affiliated language institute in Korea. A 24-item questionnaire, adapted from a revised version of So san Kang’s Korean Speaking Self-Efficacy Scale, was employed to assess the speaking self-efficacy of Chinese native speakers. Data from 97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hich identified three factors: “pragmatic efficacy,” “self/peer evaluation efficacy,” and “actual performance efficacy.” Chinese native speakers reported the highest speaking self-efficacy in honorific use and the lowest in discussion and debate tasks.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initial learning environment, study duration, speaking opportunities, Korean proficiency (TOPIK level), and speaking-related anxiety significantly influenced speaking self-efficacy. These findings deep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peaking self-efficacy among Chinese native speakers and provide empirical insights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결과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혜. (2025).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 연구-말하기 효능감 양상과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과학연구, 27 (2), 91-121

MLA

심혜.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 연구-말하기 효능감 양상과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과학연구, 27.2(2025): 91-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