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창의적 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Big-Data Text-Mining Analysis of Social Perceptions of Creative Agin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정수정 손연주 윤정진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2호, 101~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현대사회에서 고령층의 삶의 질 향상과 자아실현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창의적 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창의적 노화를 노년기의 인지적 유연성과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그리고 사회적 통합을 위한 잠재력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2021년 11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약 3년간 ‘창의+노화’를 키워드로 네이버, 다음, 구글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총 825.74KB의 데이터를 TEXTOM을 통해 정제하였으며, 빈도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창의적 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통적인 노화 패러다임의 핵심 요소인 ‘건강 유지, 사회참여, 생산성’ 등을 수용하면서도, 창의성과 심리적 자아실현이라는 확장된 가치축을 통해 노년기를 ‘능동적 문화주체성’의 시기로 재구성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노인을 보호와 관리의 대상에 머물게 했던 수동적 담론을 뛰어 넘어, 노인 스스로가 학습과 창의활동을 통해 자신의 삶을 설계해 나가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주체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 노화 담론이 단순 문화․여가 차원을 넘어 학습․심리․건강․제도 지원을 아우르는 다차원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향후 창의적 노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ocial perception of ‘creative aging‘, which is receiv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self-realization of the elderly in modern society that has entered a super-aging society. In particular, it approached creative ag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flexibilit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potential for social integration in old age, and sought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it.
Method: Big data text mining was used to collect data for approximately three years from November 2021 to November 2024. Data was collected from Naver, Daum, Google, etc. using the keyword ‘creativity+aging’. A total of 825.74KB of collected data was refined through TEXTOM. Frequency analysis,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While accepting the core elements of the traditional aging paradigm, such as ‘maintaining health, social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it suggests that old age is being reconstructed as a period of ‘active cultural subjectivity’ through an expanded value axis of creativity and psychological self-realization. This change goes beyond the passive discourse that still made the elderly the objects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and shows that the elderly themselves are positioning themselves as subjects who design their own lives and create social values through learning and creative activiti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reative aging discourse is expanding beyond the simple cultural and leisure dimensions to a multidimensional concept encompassing learning, psychology, health, and institutional support. This study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policies for creative aging in the future.
목차
서 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고등학생의 지각된 교사 지지와 학습 몰입의 관계에서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 Biopsychosocial Model을 적용한 노년기 인지기능 연구동향 분석: 다학제적 변수 간 상호작용에 대한 융합적 탐색
- 영유아교사의 마음챙김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성장마인드셋에 의해 조절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창의적 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책임의 발달과 교육에 관한 고찰
- 학업-정서 연계 학업역량 증진 프로그램이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