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업-정서 연계 학업역량 증진 프로그램이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1
- 영문명
 - Effects of an Academic-Emotional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on Academic Stress and Emotion Regul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김현숙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2호, 19~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감소와 학업정서조절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 ‘학업-정서 연계 학업역량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개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사전–사후검사에 따른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10차시의 모듈형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프로그램 구성은 정서조절과 학습전략 요소를 통합한 구조로 설계되었고, 학교 여건에 따라 일부 회기 내용이 조정되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학업스트레스 중 공부스트레스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으며, 검사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학업정서조절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재평가’ 전략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결론: 본 프로그램은 학업과 정서를 통합적으로 다룬 개입으로서 학업스트레스 완화와 정서조절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며, 특히 모듈형 운영을 통해 학교 및 학습자 특성에 따른 유연한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develops and tests an academic-emotional program to reduce academic stress and enhance emotion regul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Students from two high school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a 10-session modular program that integrated emotional and learning strategies, adapted to each school's contex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academic stress, especially study-related stress. A significant time-by-group interaction effects was observed. In academic emotion regulatio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a notable improvement in the use of the “positive reappraisal” strateg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program effectively reduced academic stress and improved emotional regulation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Its modular design enables flexible use in diverse school setting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고등학생의 지각된 교사 지지와 학습 몰입의 관계에서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 Biopsychosocial Model을 적용한 노년기 인지기능 연구동향 분석: 다학제적 변수 간 상호작용에 대한 융합적 탐색
 - 영유아교사의 마음챙김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성장마인드셋에 의해 조절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창의적 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책임의 발달과 교육에 관한 고찰
 - 학업-정서 연계 학업역량 증진 프로그램이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한 셀프 경혈 마사지 경험 연구
 - 관광객의 반려동물 동반 관광에 대한 인식과 행동의도 분석
 - 대상관계와 이마고 이론을 적용한 중년부부 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