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Life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Career Adaptation Model
발행기관
인지발달중재학회
저자명
김우리
간행물 정보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2호, 61~8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진로적응모형에 기반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부산 지역 소재 복수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36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1.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주요 변인 간의 상관을 분석하고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은 진로적응성을 통해서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였으나, 진로관여행동을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관여행동을 직접 촉진하기보다 진로적응성을 우선적으로 강화하는 단계적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life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career adaptation model.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South Korea. Data from 366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sequential mediation analyses. SPSS 21.0 and the PROCESS macro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Second,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life satisfactio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whereas their indirect effect through occupational engagement alone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a stepwise intervention that prioritizes strengthening career adaptability to directly promoting occupational engagement.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우리. (2025).대학생의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6 (2), 61-80

MLA

김우리. "대학생의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6.2(2025): 6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