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iopsychosocial Model을 적용한 노년기 인지기능 연구동향 분석: 다학제적 변수 간 상호작용에 대한 융합적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Using the Biopsychosocial Model: A Convergent Exploration of Interactions Among Multidisciplinary Variables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조규영 이은지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2호, 81~10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0~2024년에 발표된 노년기 인지기능에 대한 국내 문헌을 Biopsychosocial Model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KCI 등재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검색을 수행하였다. ‘노인 인지기능’ 또는 ‘노년기 인지기능’을 검색어로 사용하여 총 834편의 논문을 확인하였으며, 제목 및 초록을 검토하여 연구 목적에 적합한 99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연도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별 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년기 인지기능 연구는 2016년을 기점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2022년부터 최근 3년간 연간 10편 이상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연구대상의 경우 일반 노인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정 성별(여성노인) 및 독거 여부를 고려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68.7%의 연구가 대규모 기존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고령화연구패널조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36.4%). 연구 주제별 분석에서는 생물학적 요인을 다룬 연구가 30.3%로 가장 많았으며, 다중 요인을 분석한 연구(28.3%), 심리적 요인을 다룬 연구(26.3%), 사회적 요인을 다룬 연구(15.1%)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노년기 인지기능 연구에서 Biopsychosocial Model을 적용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향후 연구에서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반영한 융합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한국 사회에 치매 예방 및 가족부양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domestic literature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4 using the Biopsychosocial Model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preventing cognitive decline among older adults.
Methods: The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using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database, targeting papers published in KCI-indexed academic journals. Using the keywords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or 'cognitive function in later life', a total of 834 papers were identified. After reviewing the titles and abstracts, 99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that met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based on publication year, subjects, methods, and theme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research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has shown an increasing trend since 2016, with over 10 studies published annually in the last three years since 2022. Regarding research subjects, studie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general population of older adults, with relatively fewer studies considering specific subgroups such as older women and those living alone.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68.7% of studies utilized large-scale pre-existing datasets, with the Aging Research Panel Survey being the most frequently used (36.4%). The thematic analysis revealed that studies on biological factor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30.3%), followed by studies analyzing multiple factors (28.3%), psychological factors (26.3%), and social factors (15.1%).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at applies the Biopsychosocial Model in cognitive function research in older adults.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research reflecting the interactions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Such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dementia prevention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family caregiving support systems in South Korea, which is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목차
연구목적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고등학생의 지각된 교사 지지와 학습 몰입의 관계에서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 Biopsychosocial Model을 적용한 노년기 인지기능 연구동향 분석: 다학제적 변수 간 상호작용에 대한 융합적 탐색
- 영유아교사의 마음챙김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성장마인드셋에 의해 조절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정서・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창의적 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책임의 발달과 교육에 관한 고찰
- 학업-정서 연계 학업역량 증진 프로그램이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