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를 위한 생태음악 프로그램 개발연구: 동양음악사상을 기반으로
이용수 15
-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eco music program for early childhood: Based on ideas from the oriental music tradition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안세정 김은주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2호, 71~10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양음악사상에 기반하여 영유아를 위한 생태음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한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시안 초안 개발 단계에서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면담 및 심층면담의 사전조사를 통해 프로그램 시안의 초안을 구성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시안 개발 단계에서는 현장 전문가 면담과 자기 실행적 연구,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프로그램 시안을 확정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최종안 개발 및 확정 단계에서는 확정 시안을 현장 적용하고 전문가 협의 및 자문을 통해 체계를 점검하여 프로그램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 생태음악 프로그램 최종안은 즐거움과 즐김의 락(樂), 가무악 일체와 조화 및 어울림의 화(和), 자연스러움과 자유로움의 자(自), 지극하고 꾸준한 (致), 자연본성의 정(情)이라는 핵심개념 아래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성 원리는 유희성, 조화성, 자연성, 일상성, 본질성의 다섯 가지 내용원리에 따라 가, 무, 악의 방법으로 풀어내며 청응현화의 방법원리로 드러난다. 이에 따라 구성 체계는 목적 및 목표, 내용과 방법, 교사역할 및 평가로 제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연행 예시와 연행을 위한 교사의 준비, 시간과 공간의 준비, 프로그램 연행 지원을 위한 노래․놀이 및 악기 선정 방법과 노래목록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n ecological music program for early childhood based on ideas from the Oriental music tradition. The research procedure entailed the following steps. First, to draft the program proposal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form the program content. Second, in the program development stage, the proposed content was subjected to field expert interviews, self-executive research, and expert councils. Third, to compile the final draft, the proposed program content was implemented on-site, and experts were consulted. Consequently, the final draft of the ecological music program reflects the core concepts of pleasure and enjoyment, universal harmony through singing and dancing to music, natural and free self-regulation, extreme and steady, and authenticity. The composition principle is solved in the way of A, no, and evil according to five content principles, namely: playability, harmony, nature, daily practice, and essentiality, revealed through the methodological principle of auditory manifestation. Accordingly, the composition system is presented in this paper as purpose and goals, content and methods, teacher role, and evaluation. Additionally, to guide program implementation, this paper provides, teacher preparation guidelines temporal and spatial preparation guidelines and song, play, and instrument selection methods, as well as song lis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절차 및 방법
Ⅲ. 프로그램 최종안 확정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5세 유아의 생태감수성에 관한 연구 : 국유림 숲 체험 교육활동 중심으로
- 영유아를 위한 생태음악 프로그램 개발연구: 동양음악사상을 기반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목차
- 생태‧예술융합 영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 계획 간 양육지원제도 이용 여부의 조절효과: 한국영유아교육‧보육패널 1차 데이터를 중심으로
- 유‧초 이음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 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 유아교육연구에 나타난 유아의 ‘몸’에 대한 담론 연구: 생태적 몸 담론으로의 전환 모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