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태‧예술융합 영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12
- 영문명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cology‧art convergence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윤경 손연주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2호, 25~4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가 생태적 감수성과 예술적 감수성을 동시에 함양할 수 있는 생태·예술융합 영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초적으로 문헌연구와 생태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한 경험이 있고, 예술분야에 함께 관심을 가진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요구도 조사를 위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생태·예술융합 영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총 4차시로 구성되며, 차시별 3회기씩 총 12회기의 교육으로 구성되었다. 각 차시는 ‘자신을 비우기’, ‘자연과 예술이 되는 경험’, ‘생태·예술적 교사-되기’, ‘연결과 확장’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생태와 예술을 함께 융합한 연구를 제안하고 그 중점을 신체와 감각에 초점을 두어 관계 맺음과 활동중심의 프로그램을 제안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eco-art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enables early childhood teachers to simultaneously cultivate ecological and artistic sensitivity.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n interest in the arts and experience working at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interviewed in-depth. An eco-art integrated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findings. The program consists four themed sessions, titled “Emptying Oneself,” “Experiencing Nature and Becoming Art,” “Becoming an Eco-Art Teacher,” and “Connection and Expansion.”. Each session comprises three activities, for a total of twelve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proposal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integrates ecological and artistic elements. The program emphasizes body-centered and sensory experiences to foster relational and activity-centered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프로그램 개발과정
Ⅲ. 프로그램 개발안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5세 유아의 생태감수성에 관한 연구 : 국유림 숲 체험 교육활동 중심으로
- 영유아를 위한 생태음악 프로그램 개발연구: 동양음악사상을 기반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목차
- 생태‧예술융합 영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 계획 간 양육지원제도 이용 여부의 조절효과: 한국영유아교육‧보육패널 1차 데이터를 중심으로
- 유‧초 이음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 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 유아교육연구에 나타난 유아의 ‘몸’에 대한 담론 연구: 생태적 몸 담론으로의 전환 모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