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초 이음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 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이용수  23

영문명
A daycar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elementary education continuity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김은빈 김남희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2호, 159~19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초 이음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비교·분석하여 효과적인 이음교육 실행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G도 소재한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교사 총 42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현행 유·초 이음교육은 학기별 1-2회의 단발성 행사 중심으로 운영되어 체계적 정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행사 공동 계획 및 학습자 간 교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공동 교육과정 개발과 생활기록부 연계는 부족하였다. 기관별로 어린이집은 교육과정 연계, 유치원과 초등학교는 학생 간 교류 활동이 강점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의 상호 교육과정 인지도가 낮아 어린이집과 초등학교 교사의 72% 이상이 상대 기관의 교육과정을 참고하지 않았다. 효과적인 이음교육 실행을 위해서는 교사의 상호 교육과정 이해와 공동 교육과정 구성이 중요하며, 기본생활습관, 자조기술, 인성교육이 핵심 내용으로 강조되었다. 교사교육 측면에서는 기관별 맞춤형 컨설팅과 공동교육과정 설계 연수가 우선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유치원-초등학교 중심 연구에서 나아가 어린이집까지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유·초 이음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보다 포괄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현행 유·초 이음교육이 개별 기관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임을 시사하며, 향후 효과적인 유·초 이음교육의 정책 수립과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the transition education perceptions of 423 childcare cente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G provi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ransition programs operate infrequently and primarily as one-time events (i.e., 1-2 times per semester), indicating a lack of systematic implementation. Activities center mainly on joint event planning and learner exchange, while joint curriculum development and student record coordination are insufficient. Childcare centers excel at curriculum connectivity, while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demonstrate strength in student exchange activities. Teacher awareness of the curricula of counterpart institutions is notably low, with over 72% of childcare center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iling to reference the curriculum of the upcoming or preceding institution, respectively. This is problematic because effective transition educationrequires mutual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ve development, with an emphasis on basic life habits, self-help skills, and character education. Participating teachers identified institution-specific consultation and joint curriculum design training as priority needs. The inclusion of childcare centers in this study expands transition education research beyond the typical focus on the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continuum. The findings providing comprehensive insights into transition education challenges, underscoring problems that require structural solutions rather than individual institutional efforts. Hence, this paper can inform the formulation of policy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빈,김남희. (2025).유‧초 이음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 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생태유아교육연구, 24 (2), 159-190

MLA

김은빈,김남희. "유‧초 이음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 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생태유아교육연구, 24.2(2025): 159-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