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Freshman Female College Students’ Emotional Adjust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Adaptability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재호(Jaeho Lee) 이우진(Woo Jin Lee) 김경은(Kyung Eun Kim)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학연구』제38권 제3호, 67~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여자대학 신입생의 정서적응과 진로적응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고, 어머니 교육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K여자대학교 2020학년도 신입생 177명의 대학생활적응검사(TACL) 결과와 학업성취도 자료를 활용하여 정서적응과 진로적응의 매개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적응이 진로적응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특히 정서안정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강화함으로써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이러한 경로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여, 정서적응과 진로적응의 연계성이 어머니 학력에 따라 차별적 영향력을 보였다. 구조모형 적합도 검증 결과, 정서-진로 통합모형(CFI=.924, TLI=.908, RMSEA=.062)이 단일요인 모형보다 우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연구결론: 이러한 결과는 여자대학 신입생의 학업 성공을 위해서는 정서적 안정과 진로결정의 선순환적 관계를 고려한 통합적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학술적 기여: 사회인지진로이론과 여성 정체성 발달 모델을 접목하여 여자대학생의 정서적응과 진로적응의 순차적 매개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이론적·실천적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djustment, career adapt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female university freshmen,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oderating role of maternal education level.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career adaptability mediates the effect of emotional adjustment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77 first-year students at K Women's University in 2020, using the Transiti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TACL) scale and official academic performance recor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ized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adjust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areer adaptability. Emotional stability was found to enhance students’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which in turn improved academic performance. Furthermore, maternal education level moderated the pathway from emotional to career adjustment, indicating that the strength of this relationship varied depending on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Model fit indices supported the integrated emotional-career adjustment model (CFI = .924, TLI = .908, RMSEA = .062) as superior to a single-factor model.
Conclu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ostering both emotional st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in supporting the academic succ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that addresses emotional and career development needs is essential.
Contribu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mpirically validating a sequential mediation model that integrates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and female identity development frameworks, offering both theoretical insight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udent support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확장학습이론에 관한 문헌 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 개인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