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 계획 간 양육지원제도 이용 여부의 조절효과: 한국영유아교육‧보육패널 1차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 support polic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subsequent childbirth plans: focusing on the first round of data from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panel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병기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2호, 49~6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 계획 간 양육지원제도 이용 여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영유아교육·보육패널 1차년도 데이터 중 어머니용 패널 데이터 2,850개를 분석하였다. SPSS 29.0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 계획 간 관계에서 양육지원제도 이용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양육지원제도를 이용한 경우 양육스트레스가 후속 출산 계획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완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 계획 간의 관계에서 양육지원제도 이용 여부의 역할의 대한 것을 밝혀냈다는 것에 대해 의의가 있으며, 출산율 제고를 위한 양육지원제도 이용 확대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care support system utilization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subsequent childbearing plans. This study analyzed the panel data of 2,850 mothers who participated as respondents to the Korean Infant Education and Child Care Panel in its first year. Analysis was performed in SPSS 29.0.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hild support system uti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subsequent childbearing plans. Additionally child upport system utilization mitigated the negativ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subsequent childbearing plans.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lies in the revelation of the role of child support system utilization among mot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subsequent childbearing pla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at promoting child support system utilization may improve fert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5세 유아의 생태감수성에 관한 연구 : 국유림 숲 체험 교육활동 중심으로
- 영유아를 위한 생태음악 프로그램 개발연구: 동양음악사상을 기반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목차
- 생태‧예술융합 영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 계획 간 양육지원제도 이용 여부의 조절효과: 한국영유아교육‧보육패널 1차 데이터를 중심으로
- 유‧초 이음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 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 유아교육연구에 나타난 유아의 ‘몸’에 대한 담론 연구: 생태적 몸 담론으로의 전환 모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