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판본 <소대성전>의 변이 양상에 대한 재검토

이용수  2

영문명
A Reexamination of the Commercially Publication of Woodblock-printed Sodaeseongjeon in the Seoul Area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이지영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51호, 7~3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동안 경판본 <소대성전>의 변이 양상은 장수 축소의 일 방향으로만 조명되면서, 장수가 적은 판본에서 행문이 더 긴 이유에 대한 설명이 미흡했다. 이 논문은 경판 <소대성전>의 36장본․24장본․23장본․20장본을 비교하여, 판본 간 변이 양상을 재검토하였다. 먼저 각 판본의 글자수를 비교하여 24장본이 20장본보다 서술분량이 적다는 점, 20장본은 11장 이하에서 반엽당 글자수가 줄면서도 서술분량이 늘어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 서사단락별 글자수를 비교함으로써 20장본은 ‘청룡사 의탁’과 ‘호왕의 침입’ 대목에서 36장본보다도 글자수가 많고, 36장본은 전반부와 후반부의 글자수가 비슷하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판본별 변모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23장본과 36장본, 24장본과 20장본의 행문을 각각 비교하였는데, 20장본의 부연 대목은 구체적인 서술을 지향하고, 관용어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서사맥락에 어울리지 않는 대목이 존재한다는 등 점에서 36장본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경판 <소대성전> 36장본의 행문이 독자의 다양한 취향에 부합하기 위해서 부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하였다.

영문 초록

Until now, variations in the woodblock-printed Sodaeseongjeon have primarily been examined in terms of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folios, focusing only on a transformation in a single direction-toward fewer physical leaves. As a result, there has been insufficient explanation for cases where versions with fewer folios actually contain longer or more numerous sentences. This paper re-examines the patterns of variation in the woodblock-printed Sodaeseongjeon by comparing the narrative volume and distribution based on character count across the 36-folio, 24-folio, 23-folio, and 20-folio editions, and by conducting sentence-by-sentence comparisons between the 36- and 23-folio versions, as well as between the 24- and 20-folio versions. First, a comparison of character counts per half-leaf shows that the 24-folio edition contains less narrative content than the 20-folio edition, and that in the 20-folio edition, even though the number of characters per half-leaf decreases in sections up to folio 11, the total narrative volume actually increases. Furthermore, a comparison of character counts by narrative segment reveals that the 20-folio edition includes more characters than the 36-folio edition in parts such as “Reliance on Cheongnyong Temple” and “The Invasion by the Barbarian King,” and that the 36-folio edition shows a relatively balanced distribution between the former and latter halves of the text. Next, to more precisely identify how the text changed across versions, sentence-level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23- and 36-folio editions, as well as between the 24- and 20-folio editions. These comparisons revealed that the added lines in the 20-folio edition resemble those in the 36-folio edition, particularly in their tendency to include more concrete descriptions, frequent use of conventional phrases, and the presence of passages that appear inconsistent with the narrative context.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inferred that the added lines in the 36-folio edition may have been intended to cater to a wider range of reader preferences.

목차

Ⅰ. 서론
Ⅱ. 경판본 <소대성전>의 판본별 글자수 비교
Ⅲ. 경판본 <소대성전>의 행문 비교
Ⅳ. 경판본 <소대성전>의 변이 방향과 원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영. (2025).경판본 <소대성전>의 변이 양상에 대한 재검토. 국문학연구, (), 7-36

MLA

이지영. "경판본 <소대성전>의 변이 양상에 대한 재검토." 국문학연구, (2025): 7-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