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 대상 통일교육 인식조사에 근거한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 개선 방향
이용수 72
- 영문명
- Enhancing Moral Subject’s Unification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Insights from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Unifica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저자명
- 김윤경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제46권 제1호, 99~13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을 근거로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의 한계점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도덕과 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충북 소재 초등학생 779명을 대상으로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응답 결과에 대해서 학년별 응답률 변화 추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이 높아질수록 통일과 북한에 대한 인식이 복잡해졌으며, 전체적으로 실리주의적인 이유에 근거한 선택지들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반면 보편적 가치 추구나 민족주의 논거는 통일의 이득이 없는 상황을 가정했을 때 영향력이 있었다. 또한 분단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는 학생이 적었으며, 통일과 북한 주민에 대해 복잡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도덕과 통일교육이 효과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실리주의적 논거의 한계를 인지하고, 학생들이 동포애와 개방성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시민적 정체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현실과 학교에서 접하는 통일 관련 정보의 괴리를 좁히고, 통일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을 기를 수 있는 통일교육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elementary-level unification education within moral subjects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779 stude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as students advanced in grade levels, their views on unification and North Korea became more nuanced and pragmatic, although universal values and nationalist sentiments remained influential. While most students reported little discomfort with national division, they expressed complex emotions regarding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Based on these insights, this study suggests that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move beyond economic justification and, instead foster a civic identity rooted in empathy, national solidarity, and openness. Furthermore, it emphasizes the need to bridge the gap between real-world experiences and school-based instruction to prepare students better for the realities of un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초등학생의 통일교육 인식 조사 결과
Ⅴ. 논의
Ⅵ.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에 대한 태도 변화 탐색 : 통합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한 혼합연구
- 현대교육의 지향점에 대한 비판적 접근: 영화 <스쿨 오브 락(樂)>을 중심으로
- 대학생 학업적 자기효능감 추정편향 경향에 미치는 영향 요인 및 편향유형별 학업노력과 지속의향 차이
-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한 중학생의 학업태도와 그릿의 잠재집단 분류와 영향요인 분석
- 책임, 자유의지, 그리고 교육 : 교원의 아동학대 면책에 관한 철학적 근거
- 초등학교 교육구성원의 교육활동(교권) 인식 실태 분석을 통한 시사점 고찰
- 초등학생의 형성적 자기평가실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소규모 종교계 대학의 대학기관평가인증 참여 과정과 성공 요인 분석
- 이전재배치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초등학생 대상 통일교육 인식조사에 근거한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 개선 방향
- 장자의 무위(無爲)의 덕(德)과 인성교육
- YAP/TAZ Shuttle Protein Interaction with Tip60 in HIPPO Signaling: YAP/TAZ direction for Tip60 acetylation site on chromosom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