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학업적 자기효능감 추정편향 경향에 미치는 영향 요인 및 편향유형별 학업노력과 지속의향 차이
이용수 39
- 영문명
- Predictors of Calibration of Self-efficacy and Differences in Academic Effort and Intention to Persist by Calibration Typ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저자명
- 황혜영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제46권 제1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추정편향 경향에 효능감 원천, 메타인지전략 사용, 완벽주의, 과목흥미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편향유형별로 학업의지와 지속의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A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총 38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효능감 추정편향 유형을 고려했을 때, 메타인지전략 사용 수준이 높을수록 현실적 추정집단에 비해 과소추정집단(자기효능감이 실제 수행능력보다 낮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낮은 반면 완벽주의는 반대의 패턴을 보여주었다. 또한 성공경험과 언어적 설득이 높을수록 과대추정집단(자기효능감이 실제 수행능력보다 높은 집단)에 비해 현실적 추정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나, 과목흥미는 반대의 패턴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추정편향 유형별로 학업노력과 지속의향에 차이가 있었는데, 과소추정집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현실적 추정집단과 과대추정집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결과, 단순히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측면으로 교육적 개입이 이루어지기 보다는 효능감 추정경향을 반영한 차별적 접근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1) the effects of efficacy sources, the use of metacognition strategy, perfectionism, and subject interest on the calibration of self-efficacy, and (2) how different calibration types affect academic effort and intention to persist. A total of 386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with higher metacognition were less likely to belong to the under-calibrated group compared to the accurately-calibrated group, while perfectionism showed the opposite pattern. Furthermore,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uccessful past experiences and verbal persuasio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accurately-calibrated group rather than the over-calibrated group, whereas subject interest showed the opposite trend. Lastly, the under-calibrated group exhibited the lowest levels of academic effort and intention to persist, where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accurately-calibrated group and over-calibrated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not merely focus on enhancing self-efficacy but should also consider students' calibration tendencies to achieve more effective educational outcom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에 대한 태도 변화 탐색 : 통합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한 혼합연구
- 현대교육의 지향점에 대한 비판적 접근: 영화 <스쿨 오브 락(樂)>을 중심으로
- 대학생 학업적 자기효능감 추정편향 경향에 미치는 영향 요인 및 편향유형별 학업노력과 지속의향 차이
-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한 중학생의 학업태도와 그릿의 잠재집단 분류와 영향요인 분석
- 책임, 자유의지, 그리고 교육 : 교원의 아동학대 면책에 관한 철학적 근거
- 초등학교 교육구성원의 교육활동(교권) 인식 실태 분석을 통한 시사점 고찰
- 초등학생의 형성적 자기평가실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소규모 종교계 대학의 대학기관평가인증 참여 과정과 성공 요인 분석
- 이전재배치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초등학생 대상 통일교육 인식조사에 근거한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 개선 방향
- 장자의 무위(無爲)의 덕(德)과 인성교육
- YAP/TAZ Shuttle Protein Interaction with Tip60 in HIPPO Signaling: YAP/TAZ direction for Tip60 acetylation site on chromosom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학교 2007~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의교양농업교육 내용 비교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 내 발명교육 내용 분석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