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낮은 사회계층 청년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Negative Stereotypes and Belief in a Just World on the Depression of Lower-Class Young Peopl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 발행기관
- 한국교육치료학회
- 저자명
- 강유진 신윤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치료연구』제17권 제1호, 91~1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계층이 낮은 청년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낮은 사회계층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낮은 사회계층에 대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중위소득 50% 이하에 해당하는 만 19~34세의 청년 180명을 대상으로 낮은 사회계층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 내면화된 수치심, 우울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SPSS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계층이 낮은 청년들의 우울에 낮은 사회계층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은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 않았으나,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우울을 간접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은 우울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동시에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를 통해서도 우울을 간접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계층이 낮고 우울을 경험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할 때 고려해야 할 심리적 요인들을 구체화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social class affect depression in young people from lower socioeconomic backgrounds. Specifically, it explored the links between negative stereotypes of lower social class, belief in a just world to self, and depression, while also considering how internalized shame mediates the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individuals aged 19 to 34, all from the lower 50% income distribu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5.0 and AMOS 25.0 wa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stereotypes did not directly influence depression but indirectly increased it through internalized shame. Belief in a just world to self was found to directly reduce depression, with an additional indirect effect via internalized shame. This study highlights key psychological factors to consider when counseling lower-class young people experiencing depression.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험성이 높은 중학생의 학교적응,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으로 조절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낮은 사회계층 청년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 눈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개인문화성향으로 조절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 노인의 외로움이 자살생각에 대해 미치는 영향: 반복적 부정사고와 우울의 매개효과
- 상담계획 실무지침 개발
-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한 창의적 특성, 정서문제, 협동심의 종단적 관계 검증 : 중학생을 중심으로
- 마약 사용 고위험군 대학생을 위한 마약 예방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아동기 지각된 방임이 초기 성인의 우울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국내 성인 대상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심리상담자가 인식하는 진로상담 수행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