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계획 실무지침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Counseling Planning Practice Guidelin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치료학회
- 저자명
- 고기홍
- 간행물 정보
- 『교육치료연구』제17권 제1호, 215~23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계획에 대한 실무지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상담계획 실무지침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인데, 구체적으로는 ‘상담계획 실무지침의 상담계획 개념정의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상담계획 유형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상담계획 목적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상담계획 목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상담계획 수립과정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상담계획서 양식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패널토의, 단일사례 적용이다. 먼저 연구문제에 대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7개 항목의 76개 지침으로 이루어진 1차 상담계획 실무지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학술대회에서 패널토의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7개 항목의 100개 지침으로 이루어진 2차 상담계획 실무지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단일사례 적용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6개 항목의 60개 지침으로 이루어진 최종 상담계획 실무지침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의의, 그리고 연구의 한계와 추가 연구 필요성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actice guidelines for counseling planning.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the construction of the guidelines, including the definition of its concept, classification of types, formulation of purpose and goals, structuring of the planning process, and design of the plan format. The research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panel discussion, and single-case application. The initial guidelines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omprising 76 guidelines across seven categories. A panel discussion led to revisions, resulting in 100 guidelines across seven categories. A single-case application refined the guidelines, producing a final version with 60 guidelines across six categories. The significance of the finding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험성이 높은 중학생의 학교적응,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으로 조절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낮은 사회계층 청년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 눈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개인문화성향으로 조절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 노인의 외로움이 자살생각에 대해 미치는 영향: 반복적 부정사고와 우울의 매개효과
- 상담계획 실무지침 개발
-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한 창의적 특성, 정서문제, 협동심의 종단적 관계 검증 : 중학생을 중심으로
- 마약 사용 고위험군 대학생을 위한 마약 예방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아동기 지각된 방임이 초기 성인의 우울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국내 성인 대상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심리상담자가 인식하는 진로상담 수행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