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약 사용 고위험군 대학생을 위한 마약 예방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rug Prevention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for the High-Risk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치료학회
- 저자명
- 심석 김재환 김주은 임한나 임주희 김은수 신성만
- 간행물 정보
- 『교육치료연구』제17권 제1호, 45~7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역량 강화 접근에 기반하여 마약 사용 고위험군 대학생을 위한 마약 예방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김창대 등(2022)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단계에 맞추어 선행연구를 개관하고 마약 사용 환경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대학생과 마약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한 후, 프로그램의 목표와 주제 및 활동을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하고 마약 노출 경험이 있으면서 잠재적 약물사용 선별척도가 절단점인 51점 이상인 60명 가운데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29명을 무작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약물에 대한 태도 척도, 마약 사용 동기 척도, 한국판 우울·불안 및 스트레스 척도, 대학생용 사회정서역량 척도를 프로그램 사전, 사후, 추후 시점에 측정하여 반복측정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마약 예방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마약에 대한 태도, 마약 사용 동기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 drug prevention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for high-risk university students. The program was developed following Kim et al.'s (2022) model. The development process included a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a needs assessment with students who had been exposed to drug and drug-related exper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ogram’s objectives, themes, and activities were structured. 59 participants who had prior drug exposure, and scored 51 or higher on the Scale for Potential Drug-use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 = 30) or a control group (n = 29). Program effectiveness was evaluat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pre-, post-, and follow-up scores.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ttitudes toward drugs, drug use motivation,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tudy discusses i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험성이 높은 중학생의 학교적응,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으로 조절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낮은 사회계층 청년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 믿음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진로 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 눈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개인문화성향으로 조절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 노인의 외로움이 자살생각에 대해 미치는 영향: 반복적 부정사고와 우울의 매개효과
- 상담계획 실무지침 개발
- 전문상담교사의 마음챙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한 창의적 특성, 정서문제, 협동심의 종단적 관계 검증 : 중학생을 중심으로
- 마약 사용 고위험군 대학생을 위한 마약 예방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아동기 지각된 방임이 초기 성인의 우울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국내 성인 대상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심리상담자가 인식하는 진로상담 수행의 어려움에 관한 개념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